- 영문명
- Analysis of Records on the Creation and Repair of Buddhist Statues and Paintings in the Wonju region during the Joseon Dynasty
- 발행기관
- 운곡학회
- 저자명
- 유근자(Geun-ja Yoo)
- 간행물 정보
- 『운곡논총』제18집, 71~112쪽, 전체 4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8.31
7,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조선 전기 원주 지역의 대표 사찰이었던 태종의 원찰 각림사와 왕실과의 관계 및 조선 후기 원주지역 불상의 조성·중수발원문과 불화의 화기를 분석한 것이다. 각림사는 조선왕조실록의 내용을 중심으로 왕실과의 관계를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본 논문의 주요 분석 대상 가운데 불상 자료는 구룡사 목조관음보살좌상(1686년 조성, 1911년 중수)과 대성암 목조비로자나불좌상(1750년)의 복장 기록이고, 불화 자료는 구룡사(1727년)와 영원사(1759년)의 불화 화기(畵記)이다.
각림사는 태종(재위 1400-1418)이 즉위 전에 머물렀던 사찰로 왕으로 즉위한 후 중창을 해 왕실과 밀접한 관계를 유지했다. 태종은 각림사에서 부모의 천도재를 설행하거나 강무(講武)의 장소로 활용하기도 했으며, 화원(畫員)을 파견해 각림사 중창 불사를 돕게 했다. 그러나 각림사는 17세기 후반에는 폐사되었다.
구룡사 목조관음보살좌상은 1686년에 횡성 봉복사에서 조성된 후 1715년, 1767년, 1887년, 1911년, 1989년, 2002년 등 6차례에 걸쳐 중수되었다. 구룡사 목조관음보살좌상은 18세기에 횡성 봉복사에서 옮겨왔고, 대성암 목조비로자나불좌상은 1960년 이후 평창 상원사에서 이안(移安)되었다. 두 불상은 모두 조선시대 왕실과 관련된 불상으로 강원도에서 조성되어 원주 지역으로 옮겨졌다는 공통점이 있다.
구룡사 「삼장보살도」와 「감로도」는 1727년에 조성되었고, 영원사 「감로도」와 「비로자나불도」는 1759년에 제작되었다. 특히 수륙재와 관련이 깊은 「감로도」와 「삼장보살도」가 18세기에 제작되어 전래되고 있는 점은 향후 강원도 지역 불화 연구의 자료로서 가치가 있다.
원주 지역의 조선 후기 불상과 불화 조성에 참여한 인물 가운데 거사와 사당의 활동이 주목된다. 특히 구룡사 목조관음보살좌상을 조성하는데 화주를 맡은 거사 백연, 구룡사 「삼장보살도」 제작에 참여한 거사 신환, 대성사 목조비로자나불좌상 조성에 참여한 거사선원 부부, 영원사 「비로자나불도」 조성에 화주를 맡은 명월사당 각순 등은 17~18세기 불교미술의 시주층을 분석하는데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Gakrimsa (the representative temple in the Wonju region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the royal family, and analyzes the Balwonmuns on Creation / Repair of the Buddhist Statues and the inscriptions of Buddhist paintings in theWonju regi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Regarding Gakrimsa, the relationship with the royal family was examined in detail in the Joseon Wangjo Sillok (Veritabl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Among the main analysis subjects of this paper, Buddhist statue data include the Bokjang Records of the Wooden Seated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of Guryongsa Temple (1686, 1911) and the Wooden Vairochana Buddha Statue of Daeseongam Temple (1750), and Buddhist painting data include the Buddhist painting records of Guryongsa Temple (1727) and Yeongwonsa Temple (1759).
Gakrimsa Temple was the temple where King Taejong (reigned 1400-1418), the third king of Joseon, stayed before ascending to the throne. After Taejong ascended to the throne, it was rebuilt and maintained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royal family. King Taejong used Gakrimsa Temple to hold a memorial service for his parents and as a place for martial arts training. He also dispatched painters to help with the reconstruction of Gakrimsa Temple. However, Gakrimsa Temple was abandoned in the late 17th century.
The Wooden Seated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of Guryongsa Temple was created in 1686 at Bongboksa Temple in Hoengseong, and was repaired six times in 1715, 1767, 1887, 1911, 1989, and 2002. This statue was moved from Bongboksa Temple in the 18th century. The Wooden Seated Vairocana Buddha Statue of Daeseongam Temple was moved from Sangwonsa Temple in Pyeongchang after 1960. Both statues are related to the royal family of the Joseon Dynasty, and share the commonality of having been created in Gangwon-do and moved to the Wonju area.
The Buddhist paintings 「Samjangbosaldo> and 「Gamnodo> at Guryongsa Temple were created in 1727, and 「Gamnodo> and 「Vairocana Buddha> at Yeongwonsa Temple were created in 1759. In particular, the fact that 「Gamnodo> and 「Samjangbosaldo>,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Suryukjae (WaterandLand Rite), were produced in the 18th century and have been handed down, are valuable as materials for future research on Buddhist paintings in the Gangwon-do region.
Among the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creation of Buddhist statues and paintings in the Wonju region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the activities of “geosa” and “sadang” are noteworthy. In particular, the geosa Baekyeon who was in charge of the creation of the wooden seated Avalokitesvara Bodhisattva statue at Guryongsa Temple, the geosa Shinhwan who participated in the creation of the 「Samjangbosaldo> at Guryongsa Temple, the geosa Seonwon couple who participated in the creation of the wooden seated Vairocana Buddha statue at Daeseongsa Temple, and the Myeongwolsadang Gak-sun who was in charge of the creation of the 「Vairocana Buddhado> at Yeongwonsa Temple are very valuable data for analyzing the donor class in the creation of Buddhist statues and paintings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목차
Ⅰ. 머리말
Ⅱ. 조선시대 각림사의 중창과 기록
Ⅲ. 구룡사의 불상과 불화의 기록
Ⅳ. 영원사 불화의 화기
Ⅴ. 대성암 불상의 복장 기록
Ⅶ.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