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원주지역 마을에서 모시는 신령(神靈) 연구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f Village-Deity Worship in the Wonju Region
발행기관
운곡학회
저자명
김도현(Do-hyeon Kim)
간행물 정보
『운곡논총』제18집, 113~160쪽, 전체 48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8,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원주지역 마을신앙을 거시적으로 살펴본 결과 이 지역 마을신앙은 마을 내에 한정된 사례가 대부분이지만 금창리 가리파 성황당 운영 사례를 통해 전근대 시기에 이 지역을 오가며 물자 유통을 담당하였던 보부상들이 마을제의에 적극 관여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와 유사한 사례를 태백 사길령 산령각을 비롯하여 울진 12령 샛재성황사 등 많은 지역에서 발견할 수 있다. 또한, 대한민국 대부분의 지역에서 그 명맥을 유지하고 있는 天神을 모신 전통이 원주지역에서도 발견되었다는 점은 매우 중요하다. 마을에서 祈雨를 위해 천신을 모신 사례는 다른 지역에서 일반적으로 발견되는 형태와 그 궤를 같이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원주지역 마을에서 모신 山神은 주로 치악산 산신 또는 백운산 산신이다. 이들의 性 또한 대부분 女神으로 여기고 있다. 이는 이 지역 산신과 함께 해당 지역 마을신앙을 이해함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많은 마을에서 모신 산신을 여산신으로 여긴 것으로 보아 산령·천왕의 의미를 지닌 치악산신과 백운산신을 모신 것으로 여겨진다. 향후 개별 사례들에 대한 좀 더 심층적인 분석이 필요해 보인다. 원주지역 대부분의 마을제당 명칭이 성황당이고, 마을제사 명칭을 서낭고사[성황제]라고 한다. 그런데, 실제 현장을 보면 이전에 산신과 성황을 각각 모셨음을 알 수 있다. 合祀되는 과정에서 성황신을 더 중시함에 따른 자연스런 변화 과정으로 보여진다.

영문 초록

A macroscopic examination of village belief systems in the Wonju region reveals that most cases are limited to localized village practices. However, the case of the Garipa Seonghwangdang in Geumchang-ri provides valuable insight into the active involvement of bobusang—itinerant merchants responsible for regional trade and distribution during the premodern era—in communal religious practices. Similar examples can be found in various regions, such as the Sanryeonggak shrine at Sagillyeong in Taebaek and the Saetjae Seonghwangsa shrine in the Twelve Passes of Uljin. It is also of considerable importance that the tradition of worshiping Cheonsin (heavenly deities, 天神), which continues throughout most of Korea, is also found in the Wonju area. Rituals involving Cheonsin, particularly those aimed at invoking rain (giyu, 祈雨), are consistent with patterns widely observed in other regions. In villages around the Wonju region, the Sanshin(mountain deities, 山神) worshipped are primarily those of Chiaksan or Baegunsan. These deities are generally regarded as female gods. This is a crucial element in understanding local village beliefs in conjunction with the mountain deities of the area. The fact that many villages consider their Sanshin to be female suggests that they worshipped the deities of Chiaksan and Baegunsan, which are associated with the concepts of mountain spirits and heavenly kings. Further in-depth analysis of individual cases will be necessary in the future. Most village shrines in the Wonju region are called Seonghwangdang, and the associated rituals are referred to as Seonanggosa or Seonghwangje. Field investigations suggest that Sanshin and Seonghwang were originally worshiped as distinct deities. The present-day practice of joint worship appears to reflect a gradual shift toward prioritizing the Seonghwang deity, resulting from a natural process of ritual integration.

목차

Ⅰ. 머리말
Ⅱ. 마을공동체신앙 전승 양상
Ⅲ. 원주지역 마을에서 모신 신령과 그 의미
Ⅳ.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도현(Do-hyeon Kim). (2025).원주지역 마을에서 모시는 신령(神靈) 연구. 운곡논총, (), 113-160

MLA

김도현(Do-hyeon Kim). "원주지역 마을에서 모시는 신령(神靈) 연구." 운곡논총, (2025): 113-1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