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인류학과 민속학에서의 지역연구 방법

이용수  0

영문명
Trends of Anthropological and Folkloric Methodologies of Localities in Korea
발행기관
운곡학회
저자명
이창언(Chang-un Lee)
간행물 정보
『운곡논총』제18집, 1~36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8.31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 사회에서 지역에 대한 사회 전반적인 관심이 1990년대 지방자치제의 시행으로 크게 증대하면서 지역과 지역문화에 대한 기존의 인식도 많이 달라졌다. 그동안 지역은 중앙과 지방이라는 이원론적 인식에서 주변적으로 이해되었다. 이제 지역은 지역문화의 자율성, 고유성, 전통성이 존중되는 다원주의적 인식과 중앙과 대등한 관계론적 관점에서 이해되고 있다. 이 연구는 인류학과 민속학의 측면에서 지역에 대한 이러한 인식 전환의 배경과 지역과 지역문화에 관한 새로운 연구 동향을 살피고 있다. 이 과정에서 인류학과 민속학에서 강조하는 지역의 일상에서 전개된 생활문화에 대한 세밀한 기술과 이것이 시대적 상황변화에 어떻게 반응하는가를 실천론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방식에 주목하였다. 아울러 지역 문화요소의 시대적, 공간적 변화를 반영한 입체적인 문화지도의 작성을 통해 지역 사이의 교류와 변화가 가속화되는 상황에서 지역문화의 행보를 이해하는 가능성을 논하였다.

영문 초록

With the implementation of local autonomy in the 1990s, Korean society witnessed a significant increase in overall interest in local area, leading to a substantial shift in existing perceptions of the local and local culture. Previously, the local had been understood peripherally through a dualistic perspective that separated the central and the local. Now, they are perceived from a pluralistic viewpoint that respects the autonomy, uniqueness, and traditionality of local cultures, as well as from a relational perspective that views the regions as being on equal footing with the center. This study examines the background of this perceptual shift regarding the local from the perspectives of anthropology and folklore, and explores new research trends on the local and local culture. In this process, attention is given to the anthropological and folkloristic emphasis o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everyday life culture as it unfolds in local settings, and how this responds to changes in the contemporary socio-historical context, approached from a theory of practice. Furthermore, this study discusses the potential for understanding the trajectory of local culture in a time of accelerated exchange and transformation among areas through the creation of multidimensional cultural maps that reflect temporal and spatial changes in regional cultural elements.

목차

Ⅰ. 머리말
Ⅱ. 지역에 대한 새로운 인식 형성과 과제
Ⅲ. 지역연구의 새로운 동향
Ⅳ. 인류학과 민속학에서의 동향
Ⅴ. 지역학의 정립을 위한 제언
Ⅵ.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창언(Chang-un Lee). (2025).인류학과 민속학에서의 지역연구 방법. 운곡논총, (), 1-36

MLA

이창언(Chang-un Lee). "인류학과 민속학에서의 지역연구 방법." 운곡논총, (2025): 1-3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