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Quantification of Flood Risk in Gangwon Province through Time Series Analysis of Rainfall Data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Seung Cheol Choi Kyung Su Choo Min Woo Son Byung Sik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21 No.3, 141~148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기후 변화로 인해 홍수, 산사태 등으로 인한 도시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극한 강우 및 집중 호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설계빈도를 초과하는 강우는 홍수 및 산사태와 같은 인간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치는 자연재해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이처럼 기후 변화로 인한 극한 강우 빈도가 늘어나고 있으며,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한민국의 홍수위험성을 분석하기 위해 기상관측소에서 측정된 강우량 데이터를 수집 후, 극치해석방법에 주로 사용되는 GEV분포와 시계 열 분석을 통해 각 지역별 Flood-Rich, -Poor 기간을 식별하였다. 또한, 실제빈도와 설계빈도를 이용하여 본 논문에서는 홍수에 대한 위험성을 정량화할 수 있는 Flood Load 를 계산하였다. 분석 결과, 모든 대상지역에서 Flood Load가 1을 초과한 사례가 발생하였으며, Flood Load가 가장 높은 지역은 3.83인 인제로 분석되었다. 기후변화로 인해 갈수록 빈번해지는 극한호우로 인한 홍수 예방을 위해서는 수리시 설물의 설계빈도를 상향해야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Recently,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extreme and intense rainfall events due to climate change, which leads to increased urban damage from flooding, landslides, and more. Rainfall exceeding design frequencies is a primary cause of natural disasters that significantly affect human life, such as floods and landslides. As the frequency of extreme rainfall events increases due to climate change, this study collected rainfall data from meteorological stations to analyze flood risks in Kangwon province, and identified periods rich and poor in floods using the GEV distribution and time series analysis, which are common methods for analyzing extreme events. In addition, using the actual frequency and design frequency, the flood load that can quantify the risk of flooding was calculated in this pape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cases in which the flood load exceeded 1 occurred in all target areas, and the area with the highest flood load was analyzed as a factor of 3.83. In order to prevent floods caused by extremely frequent heavy rains due to climate chang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design frequency of repair facilit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분석 및 결과
Ⅳ.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21 No.3 목차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전공심화 운영 방안: 글로벌 역량 강화와 지원
- 한국 폐경 여성의 이상지질혈증 예측을 위한 머신러닝 모델 비교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9기 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 고립과 회복: 고립청년의 경험과 회복과정에 대한 심층적 이해
- 재난유형에 따른 재난지원금 사례연구 - 자연재난과 사회재난을 중심으로
- AI 기술 활용을 통한 상수도 관리 개선 방향: 정책 방향과 실행 전략
-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자기 비난과 자기 침묵의 매개효과
-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성장 구조모형
- 강우량 데이터의 시계열 분석을 통한 강원특별자치도의 홍수위험성 정량화
- 산업시설 화재 예방을 위한 대응 방안 연구 - 리튬 배터리를 중심으로
- ‘제복 입은 시민’기반 경찰 위기관리 리더십에 관한 함의
- 고립 청년의 지원사업 참여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앤더슨 행동 모형의 적용
- 지속가능한 병역제도 대안설계방안 모색 연구
- 자기 주도 학습을 적용한 간호대학생의 핵심간호술 교수·학습모형개발 및 효과
-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교육에서 다큐멘터리를 활용한 팀 기반학습 적용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21 No.3 목차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전공심화 운영 방안: 글로벌 역량 강화와 지원
- 한국 폐경 여성의 이상지질혈증 예측을 위한 머신러닝 모델 비교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9기 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