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Countermeasures for Fire Prevention in Industrial Facilities : Focusing on the Lithium Battery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Hye Kyeong Min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21 No.3, 65~8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24년 6월 24일 오전 10시 30분, 경기도 화성시에 위치하는 리튬배터리 제조업체인 아리셀 공장에서 리튬배터리 폭발로 화재가 발생해 8명이 다치고, 23명이 사망하는 대형 참사가 발생했다. 경찰서 조사 결과 교육 부족, 외국인 근로자 불법 고용, 화재 안전 규정 위반, 불량 제품 재사용, 품질 검사 기록 위조 등 심각한 문제가 드러났다. 당시 사용된 분말 소화기는 효과가 없었고, 물이 더 적합한 소화제로 여겨졌다. 리튬은 위험물안전관리법 제2조에 따라 위험물로 지정되어 있지만, 리튬 배터리는 현행법상 위험물에서 제외되었다. 리튬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위험물로 지정하는 것이 시급하다. 또한, 미국, 영국, 일본과 같이 기본적인 안전 규정을 위반하여 화재를 일으킨 사업주에게 징역형 등 엄중한 처벌을 부과하는 법 개정이 필요하다. 향후 안전을 위해 리튬 배터리의 위험성을 재평가하는 연구와 지속적인 관리가 기대된다.
영문 초록
On June 24, 2024, at 10:30 a.m., a lithium battery explosion and fire broke out at the Aricell factory in Hwaseong, Gyeonggi-do, killing eight people and injuring 23 others. A police investigation revealed serious problems, including a lack of training, illegal hiring of foreign workers, violations of fire safety regulations, reuse of defective products, and falsification of quality inspection records. The powder extinguishers used at the time were ineffective, and water was considered a more suitable extinguishing agent. Although lithium is designated as dangerous goods under Article 2 of the Dangerous Goods Safety and Management Act, lithium batteries are excluded from the current law. It is urgent to designate lithium as dangerous goods to prevent lithium fires. It is also necessary to amend the law revision severe penalties, including imprisonment, on business owners who cause fires by violating basic safety regulations, such as in the United States, the United Kingdom, and Japan. We look forward to research and ongoing management to re-evaluate the risks of lithium batteries for future safety.
목차
Ⅰ. 서론
Ⅱ. 사건 배경
Ⅲ. 운영 실태
Ⅳ. 선행연구
Ⅴ. 산업시설 화재 예방 법률규정
Ⅵ. 해외 산업시설 화재 예방
Ⅶ.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21 No.3 목차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전공심화 운영 방안: 글로벌 역량 강화와 지원
- 한국 폐경 여성의 이상지질혈증 예측을 위한 머신러닝 모델 비교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9기 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 고립과 회복: 고립청년의 경험과 회복과정에 대한 심층적 이해
- 재난유형에 따른 재난지원금 사례연구 - 자연재난과 사회재난을 중심으로
- AI 기술 활용을 통한 상수도 관리 개선 방향: 정책 방향과 실행 전략
-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자기 비난과 자기 침묵의 매개효과
-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성장 구조모형
- 강우량 데이터의 시계열 분석을 통한 강원특별자치도의 홍수위험성 정량화
- 산업시설 화재 예방을 위한 대응 방안 연구 - 리튬 배터리를 중심으로
- ‘제복 입은 시민’기반 경찰 위기관리 리더십에 관한 함의
- 고립 청년의 지원사업 참여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앤더슨 행동 모형의 적용
- 지속가능한 병역제도 대안설계방안 모색 연구
- 자기 주도 학습을 적용한 간호대학생의 핵심간호술 교수·학습모형개발 및 효과
-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교육에서 다큐멘터리를 활용한 팀 기반학습 적용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21 No.3 목차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전공심화 운영 방안: 글로벌 역량 강화와 지원
- 한국 폐경 여성의 이상지질혈증 예측을 위한 머신러닝 모델 비교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9기 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