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osttraumatic Growth in Fire Officers: A Structural Equation Model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Nayoon Lee Sungjae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Vol.21 No.3, 87~10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표는 Calhoun과 Tedeschi의 외상 후 성장 모델을 바탕으로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성장 예측 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335명의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자기 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 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와 AMOS를 활용한 분석 결과, 연구 모형의 적합도가 권장 기준을 충족하였 다.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성장에 직접 효과를 미치는 요인은 소명의식, 동료의 지지, 의도적 반추였고 이들 변수에 의한 설명력은 59.5%였다. 의도적 반추는 가장 영향력이 큰 요인이었으며 조직의 지지와 자기 노출은 의도적 반추를 통해 간접적으로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핵심적인 중재목표를 제시하고, 보다 효과적이고 통합적인 중재전략 및 정책마련을 모색하는 데 유용한 이론적 지침을 제공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d empirically test a posttraumatic growth (PTG) prediction model based on Calhoun and Tedeschi’s PTG model, ultimately providing foundational data for interventions to promote PTG in fire officers. Methods: Data from 335 fire officers were analyz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and statistical tool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PTG. Analysis using SPSS and AMOS showed the model's fitness met recommended criteria. Direct factors influencing PTG included calling, peer support, and deliberate rumination, with these variables explaining 59.5% of the variance in PTG. Among them, deliberate rumination was the most influential. Organizational support and self-disclosure were found to have indirect effects on PTG through deliberate rumination. The study highlights the need for interventions focusing on PTG rather than just PTSD prevention and offers guidance for developing integrated mental health programs for fire offic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Ⅴ.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21 No.3 목차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전공심화 운영 방안: 글로벌 역량 강화와 지원
- 한국 폐경 여성의 이상지질혈증 예측을 위한 머신러닝 모델 비교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9기 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 고립과 회복: 고립청년의 경험과 회복과정에 대한 심층적 이해
- 재난유형에 따른 재난지원금 사례연구 - 자연재난과 사회재난을 중심으로
- AI 기술 활용을 통한 상수도 관리 개선 방향: 정책 방향과 실행 전략
- 사회부과 완벽주의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자기 비난과 자기 침묵의 매개효과
- 소방공무원의 외상 후 성장 구조모형
- 강우량 데이터의 시계열 분석을 통한 강원특별자치도의 홍수위험성 정량화
- 산업시설 화재 예방을 위한 대응 방안 연구 - 리튬 배터리를 중심으로
- ‘제복 입은 시민’기반 경찰 위기관리 리더십에 관한 함의
- 고립 청년의 지원사업 참여 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앤더슨 행동 모형의 적용
- 지속가능한 병역제도 대안설계방안 모색 연구
- 자기 주도 학습을 적용한 간호대학생의 핵심간호술 교수·학습모형개발 및 효과
-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교육에서 다큐멘터리를 활용한 팀 기반학습 적용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21 No.3 목차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전공심화 운영 방안: 글로벌 역량 강화와 지원
- 한국 폐경 여성의 이상지질혈증 예측을 위한 머신러닝 모델 비교 - 국민건강영양조사 제 9기 1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