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ivil War, Oil Resources and the Political Stability in Libya
- 발행기관
- 한국이슬람학회
- 저자명
- 서정민(Jeongmin Seo)
- 간행물 정보
- 『한국이슬람학회논총』제35권 2호, 49~72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내전이라는 정치적 충격, 원유 수출량 및 유가를 포함한 자원 수출 조건, 1인당 GDP라는 거시경제 조건이 리비아의 정치적 안정성 지수에 미친 구조적 영향을 계량적으로 설명하였다. 즉, 2011년 내전이라는 중단 전후의 구조 변화 및 외생 변수들의 설명력을 정량적으로 검토한 것이다. 분석 결과 내전과 국제 유가가 리비아의 정치 안정성에 핵심적인 결정 요인임이 밝혀졌다. 따라서 내전이라는 거대한 정치적 사건이 장기화하는 과정에서 유전을 차지하여 석유 이권을 장악하고자 하는 내부 세력 간의 대립이 리비아의 혼란과 정치적 불안정에 크게 이바지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원유 수출량보다는 국제 유가가 안정성에 더욱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기는 하였지만, 신생 혹은 저항 정부에서 원유 수출이 재정 수입의 90% 이상을 차지하는 리비아의 산업 구조를 고려하면 석유 자원 자체가 전반적으로 중요한 불안정성의 변수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Libya has suffered a low intensity civil war due to intense confrontation between the internationally recognized government in the West and the Libyan National Army in the East. In explaining the situation of political instability, various independent variables including fragmented national identity, radical Islamism, foreign intervention, tribalism have been utilized to describe the phenomenon. However, these descriptive studies have not been sufficient to suggest a persuasive explanation on the situation of Libya. In this regard, this study attempted to empirically identify which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has a greater causal relation with the chaotic state rebuilding process of Libya. To this end, this study applied Interrupted Time Series Analysis (ITS) to empirically analyze whether the level of political stability in Libya has structurally changed since the civil war in 2011.
목차
Ⅰ. 서론
Ⅱ. 정치 안정성의 변수들
III. 내부 세력 간 갈등과 리비아의 정치 불안정
IV. 내전 속 석유 자원과 리비아의 정치 안정성
V.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