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Stereoscopic 3D 게임을 이용한 양안시 자극 약시 치료의 효과

이용수  3

영문명
Binocularity-stimulating Treatment Using a Stereoscopic 3D Game in Patients with Amblyopia
발행기관
대한안과학회
저자명
정진욱(Jin Wook Jung) 이행진(Haeng-Jin Lee)
간행물 정보
『대한안과학회지』volume66,number6, 267~274쪽, 전체 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5.15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Stereoscopic 3D 게임을 이용한 양안시 자극 약시 치료의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20년부터 2023년까지 약시로 진단하고 최소 12개월 이상 가림치료 후에도 더이상 시력 호전이 없어서 양안시 자극치료를 했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양안시 자극 약시 치료는 3D TV를 이용해서 약시안의 시력에 따라 정상안에보여지는 화면의 흐림 정도를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는 길찾기 stereoscopic 3D 게임을 이용하였다. 한 회당 30분씩 총 16세션을진행하였으며 치료 전후 시력, 입체시 그리고 대비감도 등을 비교하였다. 결과: 총 24명이 포함되었고 양안시 자극 치료 시 평균 나이는 11.5세였다. 약시안 logarithm of the minimal angle of resolution (logMAR) 시력은 치료 전 0.29 ± 0.27에서 치료 후 0.19 ± 0.24로 향상되었고(p=0.001), 두 줄 이상의 시력 호전을 보인 환자는 7명(29%)이었다. 입체시는 치료 전후 각각 2.89 ± 0.41 log arcsec, 2.63 ± 0.35 log arcsec로 향상되었고(p<0.001), 대비감도는 치료 전후 각각 1.69 ± 0.11, 1.73 ± 0.08 log 1/c였다(p=0.059). 결론: 가림을 열심히 했음에도 불구하고 시력 호전이 없는 약시 환아, 어렸을 때 시력발달 시기를 놓친 성인 약시 환자에서 stereoscopic 3D 게임을 이용한 양안시 자극 치료로 추가적인 시기능 향상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분리된 3D 화면을 이용하여 약시안의 시력에따라 자극 강도를 조절하여 개별화된 치료를 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Purpose: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binocularity-stimulating treatment using stereoscopic 3D games in patients with amblyopia.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amblyopia patients who had at least 12 months of patch therapy from 2020 to 2023 without further improvement who then underwent binocularity-stimulating treatment using stereoscopic 3D games displayed on a 3D TV. The level of blur and focal length of the screen viewed by the fellow eye were adjusted according to the visual acuity of the amblyopic eye. Each session lasted 30 min and patients participated in 16 sessions. We compared visual acuity, stereopsis, and contrast sensitivity before and after treatment. Results: The study included 24 patients with a mean age of 11.5 years at the time of treatment. The visual acuity of the amblyopic eye improved from 0.29 ± 0.27 logarithm of the minimal angle of resolution (logMAR) to 0.19 ± 0.24 logMAR (p=0.001), with that of 7 (29%) patients improving by two or more lines. Stereopsis improved from 2.89 ± 0.41 to 2.63 ± 0.35 log arcsec (p < 0.001), while contrast sensitivity improved from 1.69 ± 0.11 to 1.73 ± 0.08 log 1/c after treatment (p = 0.059). Conclusions: Additional visual function improvement was achieved through binocularity-stimulating treatment using stereoscopic 3D games in amblyopia patients whose vision did not improve despite patching for a sufficient period of time and in adult amblyopia patients who missed the timing of vision development. Individualized treatment was possible by adjusting the intensity of the stimulus presented to the fellow eye based on the visual acuity of the amblyopic eye, using separate 3D screens.

목차

대상과 방법
결 과
고 찰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진욱(Jin Wook Jung),이행진(Haeng-Jin Lee). (2025).Stereoscopic 3D 게임을 이용한 양안시 자극 약시 치료의 효과. 대한안과학회지, 66 (6), 267-274

MLA

정진욱(Jin Wook Jung),이행진(Haeng-Jin Lee). "Stereoscopic 3D 게임을 이용한 양안시 자극 약시 치료의 효과." 대한안과학회지, 66.6(2025): 267-27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