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소년 폭력피해가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약물 오남용에 따른 조절효과

이용수  23

영문명
Youth Violence Victims Affect Suicide Behavior Controlling Effects of Drug Abuse Experience
발행기관
한국치안행정학회
저자명
문인수(In-Soo Moon)
간행물 정보
『한국치안행정논집』제21권 제3호, 87~104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청소년 폭력피해가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약물 오남용에 따른 조절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OECD 평균 표준인구 10만 명당 평균 자살인원이 타 국가들에 비해 2배 이상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특히 10대 청소년의 자살률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와 더불어 청소년의 약물 오남용 또한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 두 문제가 결합 되어 사회적 큰 손실이 야기되고 있는 것이 우리나라의 현 실정이다. 최근 청소년들은 다이어트 보조 제, 우울증 치료제, ADHD약물 등을 구매 혹은 거래하여 치료 목적이 아닌 잘못된 복용 정보를 바탕으로 약물은 오남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은 심각한 청소년 문제에 대한 정책적 제언의 기초작업을 위해 연구를 실시하였다. ‘청소년 건강행태조사’ 2003년 2차 자료에서 변수로 활용된 값의 결측값을 제외한 총 52,871개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청소년 약물 오남용과 자살행동과의 관계에서 약물 오남용 조절효과는 인구사회학적특성 모두 청소년 자살 행동 수준에 유의미한 영향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폭력 피해 경험과 약물 오남용 간의 상호작용항도유의미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즉, 청소년의 폭력피해 경험이 자살 행동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약물 오남용 경험이 강화하고 있는 것이 실증연구를 통해 검증되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측면의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으며, 예방 정책, 조기개입, 후속지원정책 등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정책개발을 도출해내기 위한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empirically verify the effect of youth violence on suicidal behavior and the moderating effect according to drug abuse. The average number of suicides per 100,000 people in the OECD standard population is more than twice as high as in other countries. In addition, the problem of drug abuse among adolescents is also emerging as a social problem, causing great social losses combining the two problems. Recently, adolescents' drug problems are more serious due to misuse by addiction, not for treatment purposes, by purchasing diet supplements, depression treatments, and ADHD drugs. To this end, a total of 52,871 data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missing values of values used as variables in the second data of the 2003 Youth Health Behavior Survey. As a result of the stud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youth violence victim experience and suicidal behavior, both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the level of youth suicide behavior. In other words, it was verified through empirical research that the experience of drug abuse is reinforcing the effect of adolescents' experiences of violence on the level of suicidal behavior.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policy suggestions in the educational aspect were presented, and it is expected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research to derive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policy development such as prevention policies, early intervention, and follow-up support polic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문인수(In-Soo Moon). (2024).청소년 폭력피해가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약물 오남용에 따른 조절효과. 한국치안행정논집, 21 (3), 87-104

MLA

문인수(In-Soo Moon). "청소년 폭력피해가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약물 오남용에 따른 조절효과." 한국치안행정논집, 21.3(2024): 87-10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