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이주민의 유입에 대한 차별인식과 사회 갈등 간의 인식 연구

이용수  3

영문명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Discrimination and Social Conflict on the Inflow of Migrants
발행기관
한국치안행정학회
저자명
구정연(Jung-Yeon Koo) 박시균(See-Gyoon Park) 임유석(You-Seok Lim)
간행물 정보
『한국치안행정논집』제21권 제3호, 23~42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8.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단일문화로 구별되던 한국 사회도 더 이상 다문화적 도전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이는 외국인의 이주로 분류되는 사회적 다양성의 증가 현상이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을 바탕으로 첫째, 이주민의 유입에 따른 정주민의 다문화에 대한 이해 여부를 국민들이 인식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둘째, 이주민에 대한 차별인식을 외국인 이주민에 대한 존재와 심각성 및 이주민들의 출신 지역에 대한 차별 여부로 구분하여 보고자 한다. 셋째, 이주민이 유입됨으로써 한국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본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제적 갈등 및 사회적 갈등 간에 가장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사회적 갈등에 대한 집단 간의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인식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적 갈등에 대해서는 유의미한 인식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주민의 지역에 대한 인식 차이에서는 결혼이주여성에 대해 최종학력과 해외여행 경험에 따라 인식차이가 있고, 아시아 근로자에 대해 해외거주경험과 연령에 따라 인식차이가 있으며, 유럽 근로자에 대해 성별과 최종학력에 따라 인식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시아 근로자가 결혼이주여성, 북·남미근로자, 유럽 근로자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사회 영향에 있어서는 경제적 갈등이 사회적 갈등보다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주민의 유입에 대한 이해가 우리 사회에 영향을 미치는데 대한 차별인식의 매개효과를 알아보았으며, 매개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국의 다문화정책과 관련하여 한국 사회가 다문화 국가, 다인종 사회로 나아가고 있는 현재 근본적인 문제를 정확히 인식하고 이에 부응하는 대안을 마련해야 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Even Korea, which used to be roughly divided into a single culture, can no longer be 'free from multicultural challenges'. This is because the social diversity represented by foreign migration is increasing. Based on the present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examines whether the public is aware of the understanding of the multiculturalism of regular residents due to the influx of migrants. Second, the current study explores the discrimination perception of migrants by dividing it into the existence and severity of foreign migrants and discrimination against the region of origin. Third, this research investigates the impact of the influx of migrants in Korean socie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was the highest positive (+) correlation between economic and social conflicts. Nex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among groups on social impac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of economic conflict. In addition, in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of the region of migrants, there was a difference in perception of married migrant women based on their final education and overseas travel experiences, and also a difference in perception of Asian workers according to their overseas residence experience and age,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perception of European workers according to gender and final education. Moreover, Asian workers were higher than married migrant women, North and South American workers, and European workers in the target of regular residents’ discriminative perception, and economic conflicts were higher than social conflicts in terms of social impact. Finally, there was no mediating effect in discrimination perception on the understanding of the influx of migrants which influenced our society. This study suggests that Korean society should accurately recognize the current fundamental problems that are moving toward a multicultural country and multiracial society in relation to Korea's multicultural policy and come up with alternatives to respond to the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Ⅳ. 연구결과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구정연(Jung-Yeon Koo),박시균(See-Gyoon Park),임유석(You-Seok Lim). (2024).이주민의 유입에 대한 차별인식과 사회 갈등 간의 인식 연구. 한국치안행정논집, 21 (3), 23-42

MLA

구정연(Jung-Yeon Koo),박시균(See-Gyoon Park),임유석(You-Seok Lim). "이주민의 유입에 대한 차별인식과 사회 갈등 간의 인식 연구." 한국치안행정논집, 21.3(2024): 23-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