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mparative Study on the Protection Laws of Domestic Violence Victims by Korean and Chinese Police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강상규(Sang-Kyu Kang) 노호래(Ho-Rae Roh)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21권 제3호, 1~22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비교 법제 연구의 관점에서 가정폭력 범죄 관련 중국 공안의 법적 근거 및 가정폭력 피해자 보호제도를 살펴보고, 우리 경찰의 가정폭력 피해자 보호 법제에 어떠한 실효성 문제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양국 경찰의 가정폭력 피해자 보호 법제를 비교한 결과, 우선 법률체계의 측면에서 볼 때 중국은 가해자의 처벌과 피해자 보호를 위해 ‘반가정폭력법’이라는 종합적인 기본 법제에 이를 보조하는 법률체계를 이루고 있으나, 우리는 가해자의 처벌을 위한 ‘가정폭력처벌법’과 피해자 보호를 위한 ‘가 정폭력방지법’으로 양분되어 있고, 각 법률이 상세하고 전문적인 내용으로 기술되어 있다. 다음으로, 중국의 법제는 공안에게 가정폭력 피해자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 다양하고 종국적인 행정조치를 규정하고 있으나, 우리의 경우에는 경찰에게 임시적이고 제한적인 권한에 한정하였다.
이에 대한 시사점으로, 가정폭력 피해자 구제수단을 피해자 보호명령으로 단일화하고 신청권자도 중국과 같이 폭넓게 규정하여 그 활용도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해 보이며, 형사사건 처리 이외 가정 폭력 사안에 대해 즉응적이고 현장성을 반영한 특별한 행정조치 규정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보여진 다. 예컨대, 가정폭력 현장조사 거부 시 과태료 처분이 아닌 경범죄처벌법의 일부 규정을 준용하여 통고처분을 하고 이를 재차 거부할 시에는 현행범으로 체포하는 방안 등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legal basis of Chinese police related to domestic violence crimes and the domestic violence victim protection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comparative legal research, an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Korean police's domestic violence victim protection legislation.
This is the result of comparing the laws of the police of the two countries to protect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First, in terms of the legal system, China has a simple but comprehensive legal system called the Anti-Domestic Violence Act for the punishment of perpetrators and the protection of victims, but we are divided into the Domestic Violence Punishment Act for the punishment of perpetrators and the Domestic Violence Prevention Act for the protection of victims, and each law is described in detail and professional content. Second, China's legislation provides police with various and final administrative measures as a means to protect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but in our case, it was limited to temporary and limited authority to the police.
As our implication, it is desirable to unify the remedy for victims of domestic violence as a victim protection order and increase the utilization by stipulating a wide range of applicants as in China, and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special administrative measures that are responsive to domestic violence cases immediately other than dealing with criminal cases. For example, if you refuse to conduct an on-site investigation of domestic violence, the notification disposition, which includes to some provisions of the Misdemeanor Punishment Act, applies mutatis mutandis, and if a domestic violence offender refuse again, police can arrest a domestic violence offender.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검토
Ⅲ. 중국의 가정폭력 피해자 보호 법제
Ⅳ. 한중 법제 비교 및 시사점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웨어러블 폴리스캠 운영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IPA 분석을 활용한 자치경찰 사무분석: 생활안전 사무를 중심으로
- 청소년 폭력피해가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약물 오남용에 따른 조절효과
- 경찰의 가정폭력 피해자 보호 법제에 관한 한중 비교 연구
- 이주민의 유입에 대한 차별인식과 사회 갈등 간의 인식 연구
- 한국의 연쇄살인범 유형 분석 - Holmes와 DeBurger의 분류 체계를 중심으로
- 외국인 밀집지역 폭력에 대한 태도가 폭력범죄 피해 및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 군 사망사건에서 심리부검 활용실태와 발전방안
- 경찰 바디캠의 사용의도에 관한 탐색 연구: 현장 경찰관의 의견을 중심으로
- 집단민원현장 관리책임자의 역할과 법적지위: 경비지도사와의 역할 구분과 한계 사례를 중심으로
- 자치경찰의 위기관리 역량 강화 방안 - 고령자를 중심으로
- 학업중단 청소년이 인식한 부모방임이 비행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사회적 낙인감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Mechanisms Linking Experiences of Child Abuse and the Perpetration of Intimate Partner Violence: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Aggression and Self-Esteem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현대사회와 행정 제35권 제3호 목차
- 약자동행 가치 확산을 위한 전략적 정책관리: 약자동행지수의 전략적 활용을 중심으로
- 청년 고용 정책의 정책목표 설계 및 성과관리에 관한 연구: 미래내일일경험 지원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