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Negative Self-awareness, Negligence of Parents, and Teacher Punishment on School Adaptation of Early Adolescents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성경주(Gyeong-Joo Seong) 김석범(Suk-Bum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20권 제4호, 117~13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기 청소년기에 경험하는 부모의 방임, 교사의 체벌행동과 스스로 경험하는 부정적 자기인식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부모와 교사로부터 경험하는 방임과 체벌행동에 대한 부정적 경험을 극복하고, 학교생활에 적응하기 위한 구체적인 개입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방법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조사한 2020 아동청소년인권실태 패널데이터 중 초등학생 2,592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방법은 기술통계분석, t-test,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SPSS 18.0 프로그램을 활용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라 부정적 자기인식, 부모의 방임, 교사체벌, 학교적응은 차이가 있었다. 둘째, 부정적 자기인식, 부모의 방임, 교사체벌 중 학교적응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변인은 부정적 자기인식이었다. 따라서 초기 청소년기의 학교적응을 위하여 부정적 자기인식을 안정화 시키고, 학교적응에도움을 수 있는 정서상담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청소년에게 긍정적인 환경과 도구를 제공하여 학업 성과와 정서적 안녕을 향상시켜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confirm the effect of parents' neglect, teachers' corporal punishment behavior, and negative self-awareness on school adaptation. Based on this, we intend to overcome the negative experiences of neglect and corporal punishment behavior experienced by parents and teachers, and to present specific intervention measures for adapting to school life. As for the research method, 2,592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among the panel data on the human rights situation of children and adolescents surveyed by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t-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s analysis methods, and the SPSS 18.0 program was us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negative self-awareness, parental neglect, teacher punishment, and school adaptation according to gender. Second, among negative self-awareness, parental neglect, and teacher punishment, negative self-awareness was the variable that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school adapt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abilize negative self-awareness, expand emotional counseling programs to help students adapt to school in early adolescence, and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and emotional well-being by providing a positive environment and tools to adolesc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분석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마트폰 이용 상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상황행위이론에서의 통제요인 작용 검증
- 환경권과 소음의 제(諸)문제: 층간소음·집회소음·선거운동 소음을 중심으로
- 지능형 안면 감시 기술 (IFS): 강화된 치안을 위한 실시간 안면 인식 기술에 대한 연구
- Predicting Rape Myth Acceptance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 Roles of Attitudes Toward Women and Empathy
- 해양경찰공무원의 회복탄력성 척도 타당성 연구
- 언론보도 분석을 통한 자치경찰제도 개선방안 연구
- 사이버 안보 기본 개념의 탐색: 사이버 범죄·테러·간첩
- 청소년 사이버불링 피해자의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 초기 청소년의 부정적 자기인식, 부모의 방임, 교사체벌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딥페이크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성범죄에 관한 연구
- 해양경찰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미국의 지문자료 관리 시스템 및 공유동향에 관한 연구
- 외국인의 경찰 신뢰에 관한 연구
- 정보경찰의 재난안전정보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민간경비원의 직무환경불만이 직무스트레스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노인의 차별경험이 범죄피해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소득수준의 조절된 조절효과 분석
- 경비지도사제도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수험생 인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