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validation of resilience scale among the Korea Coast Guard Officers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류용현(Yong-Hyun Ryu) 정재훈(Jae-Hoon Jung)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20권 제4호, 1~1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해양경찰공무원의 업무가 과중 되고 그 위험도가 높아짐에 따라 이들에 대한 복지 등의 지원 외에도 해양경찰공무원이 스스로 극복하고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인 회복탄력성을 높이고 이를 주기적으로 측정·관리할 필요가 있다.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회복탄력성 측정 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한 연구는 수행되었지만, 해양이라는 특수한 환경에서 경찰, 소방 등 다양한 임무를 종합적으로 수행하는 해양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회복탄력성 측정 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한 연구는 없었다. 이에이 연구는 해양경찰공무원의 회복탄력성 척도 타당성을 검증하여 회복탄력성을 효율적으로 측정하고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해양경찰 공무원을 모집단으로 비례할당 표집을 통해 대표성을 확보한 2022년 설문조사 자료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최종적으로 기술통계분석,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등을 통해 회복탄력성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해양경찰공무원의 회복탄력성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으로 3가지 요인으로 구분되는 사실을 확인하였고, 신뢰도 분석의 경우 요인1 .901, 요인2 .851, 요인3 .866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모형 적합도 역시 적절한 것으로 드러났다. 그리하여 총 9개 문항으로 구성된 회복탄력성 척도를 제시하였다. 회복탄력성은 직무환경에서 발생하는 스트레스와 위험한 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긍정적인 심리변수인 만큼 이를 적절히 관리하고 측정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를 통해 해양경찰공무원의 회복탄력성에 관한 측정·관리의 필요성과 이해를 높이고 나아가 회복탄력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지원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As the workload of Korea Coast Guard officers increases and the risk of work increases, in addition to providing welfare support, there is a need to increase resilience, which is the ability of Korea Coast Guard officers to overcome themselves and respond flexibly, and to measure and manage this on a regular basis. Accordingl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resilience scale of Korea Coast Guard Officers and to find ways to efficiently measure and effectively manage resilience.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urvey data conducted in 2022 was statistically analyzed through proportional allocation sampling of Korea Coast Guard officers as the population. Finally, the validity of resilience was verifi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resilience of Korea Coast Guard officers was divided into three factors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 the case of reliability analysis, it was found to be high at factor 1 .901, factor 2 .851, and factor 3 .866.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model fit was also found to be appropriate.
Therefore, a resilience scale consisting of a total of 9 questions was presented.
Resilience is a positive psychological variable that can overcome stress and dangerous situations that occur in the work environment and needs to be appropriately managed and measured. Through this study, we hope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and necessity of measuring and managing the resilience of Korea Coast Guard officers and to use it as basic data for support programs that can increase resilience.
목차
Ⅰ. 서론
Ⅱ. 회복탄력성 척도의 이해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마트폰 이용 상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상황행위이론에서의 통제요인 작용 검증
- 환경권과 소음의 제(諸)문제: 층간소음·집회소음·선거운동 소음을 중심으로
- 지능형 안면 감시 기술 (IFS): 강화된 치안을 위한 실시간 안면 인식 기술에 대한 연구
- Predicting Rape Myth Acceptance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 Roles of Attitudes Toward Women and Empathy
- 해양경찰공무원의 회복탄력성 척도 타당성 연구
- 언론보도 분석을 통한 자치경찰제도 개선방안 연구
- 사이버 안보 기본 개념의 탐색: 사이버 범죄·테러·간첩
- 청소년 사이버불링 피해자의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 초기 청소년의 부정적 자기인식, 부모의 방임, 교사체벌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딥페이크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성범죄에 관한 연구
- 해양경찰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미국의 지문자료 관리 시스템 및 공유동향에 관한 연구
- 외국인의 경찰 신뢰에 관한 연구
- 정보경찰의 재난안전정보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민간경비원의 직무환경불만이 직무스트레스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노인의 차별경험이 범죄피해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소득수준의 조절된 조절효과 분석
- 경비지도사제도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수험생 인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