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Public Service Motivation of Marine Police Officials on Innovative Behavior: Focusing on the Regul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박주상(Ju-Sang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20권 제4호, 35~5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11.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공무원에 대한 인기가 하락하고 있는 시점과 더불어 공공조직들이 직면하고 있는 내·외부의 환경은 매우 복잡하고 역동적이며, 불확실하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해양경찰 공무원들의 헌신과 희생 그리고 혁신행동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혁신행동은 개인과 조직의 성과 향상을 위해서 새롭고 유익한 아이디어를 조직에 도입하여 적용하는 활동이다. 일반적으로 공무원의 혁신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이 다양하게 존재하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요인이 공공봉사동기라고 할 수 있다.
반면, 자신의 직무에 불만족하거나 이로 인하여 근무할 때 조직에 몰입하지 못하는 조직구성원에 게는 혁신행동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공무원의 혁신행동 여부는 조직구성원의 직무만족과도 관련된다고 할 수 있다. 즉, 공공봉사동기와 조직구성원의 혁신행동 간에 직무만족도가 조절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해양경찰공무원은 위험에 노출되거나 격무에 시달리기 쉬운 업무환경에 있기 때문에 다른 공무원에 비해서 공공봉사동기가 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해양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공공봉사동기가 혁신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살펴보고, 나아가 직무만족이 공공봉사동기와 혁신행동 간에 어떠한 조절역할을 하고 있는 가를 실증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해양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2023년 5월 1일부터 5월 14일까지 약 2주간에 걸쳐 온라인을 통해 설문지를 배포 및 회수하였다. 설문 대상자는 전국에서 근무하고 있는 해양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설정하였으며, 응답이 완료된 설문지 중 부실한 설문 응답을 제외하고 총 153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으며, SPSS 23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해양경찰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가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해양경찰공무원의 직무만족이 혁신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조절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분석한 직무만족은 공공봉사동기와 혁신행동과의 관계에 조절변수로서 작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Along with the recent decline in popularity of public officials, the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s faced by public organizations are characterized by very complex, dynamic, and uncertain. In this situation, the importance of the dedication, sacrifice, and innovative action of maritime police officials is being emphasized even more. Innovative action is an activity in which new and beneficial ideas are introduced and applied to an organization to improve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In general, there are various factors that influence public officials' innovation action, but among them, the most representative factor is public service motivation.
On the other hand, it is difficult to expect innovative action from organizational members who are dissatisfied with their job or are unable to immerse themselves in the organization when working. In this context, it can be seen that the innovation action of public officials is also related to the job satisfaction of members of the organization. In other words, job satisfaction in an organization will affect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variables such as job involvement.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job satisfaction can act as a controlling variable betwee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members' innovative action. In particular, public service motivation is more important than other public officials because maritime police officials are in a work environment that is prone to danger or suffering from heavy work.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how public service motivation affects innovative action for maritime police officials, and also empirically examined how job satisfaction plays a moderating role betwee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innovative action.
In order to derive the results of such research, a survey was conducted on maritime police officials. The survey was distributed and collected online over a period of about two weeks from May 1 to May 14, 2023. The survey subjects were set for maritime police officials working across the country, and a total of 153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excluding poor questionnaire responses, and analyzed using the SPSS 23 program.
Looking at the analysis result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public service motivation of maritime police officials had a positive effect on innovative action.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job satisfaction of maritime police officials had a positive effect on innovative action. Third, job satisfaction analyz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did not act as a moder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innovative ac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의 설계
Ⅳ. 연구의 분석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마트폰 이용 상의 사이버범죄에 대한 상황행위이론에서의 통제요인 작용 검증
- 환경권과 소음의 제(諸)문제: 층간소음·집회소음·선거운동 소음을 중심으로
- 지능형 안면 감시 기술 (IFS): 강화된 치안을 위한 실시간 안면 인식 기술에 대한 연구
- Predicting Rape Myth Acceptance Among University Students: The Roles of Attitudes Toward Women and Empathy
- 해양경찰공무원의 회복탄력성 척도 타당성 연구
- 언론보도 분석을 통한 자치경찰제도 개선방안 연구
- 사이버 안보 기본 개념의 탐색: 사이버 범죄·테러·간첩
- 청소년 사이버불링 피해자의 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 초기 청소년의 부정적 자기인식, 부모의 방임, 교사체벌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 딥페이크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성범죄에 관한 연구
- 해양경찰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가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미국의 지문자료 관리 시스템 및 공유동향에 관한 연구
- 외국인의 경찰 신뢰에 관한 연구
- 정보경찰의 재난안전정보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민간경비원의 직무환경불만이 직무스트레스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노인의 차별경험이 범죄피해에 미치는 영향: 우울과 소득수준의 조절된 조절효과 분석
- 경비지도사제도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수험생 인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