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ultiple Stream model analysis of the Stalking Law enactment process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유진숙(Jin-Sook Ju)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20권 제2호, 165~18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2021년 전격 제정된 스토킹처벌법의 정책결정과정을 Kingdon의 다중흐름모형에 근거 하여 분석함으로써 어떻게 다양한 제도적 요소와 행위자요소가 복합적인 상호작용을 통하여 제도형 성에 영향을 미쳤는지 고찰하고자 하였다. 분석은 문제, 정책, 정치흐름의 세 가지 영역, 그리고 이세 가지 흐름이 결합하면서 열린 기회의 창이라는 네 가지 소주제로 진행되었다. 분석결과는 스토킹 처벌법 제정과정의 몇 가지 특징을 보여준다. 첫 번째, 문제흐름의 본격적 형성에는 2020년 N번방사건과 2022년 초 발생한 노원구 스토킹살인사건의 두 가지 범죄사건이 큰 영향을 미쳤으며 ‘추적단불꽃’과 같은 조직이 핵심적인 의제설정 행위자로 등장하였다. 두 번째, 문제흐름 형성 훨씬 이전 시점에 정책흐름이 형성되었으며 한국여성의전화 등 여성단체와 여성정책연구원 전문가집단, 그리고 남인순, 정춘숙의원 등 국회의 여성·아동인권포럼 소속 국회의원들이 핵심적인 정책사업가로서 정책 대안모색을 주도하였다. 세 번째, 정치흐름에서는 미투운동으로 촉발된 여성폭력범죄에 대한 대중적관심 외에도 정당들의 여성폭력범죄 관련 의정활동 활성화, 그리고 2017년 문재인대통령의 당선과2020년 총선에서의 더불어민주당으로의 입법부 다수당의 정권교체 등이 스토킹처벌법 입법의 유리한 환경을 창출하였다. 이 세 가지 흐름이 결합되면서 궁극적으로 2020년 총선부터 2021년 초까지기회의 창이 열렸으며 스토킹처벌법 제정이 가능하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입법과정의 최종단계인 법제사법위원회 토론과정에서는 스토킹처벌법의 정부 원안이 스토킹행위와 스토킹범죄로 2원 화되는 전격적인 제도변형이 이루어졌다. 스토킹처벌법 정책결정과정은 행위자 간 복합적이고 역동적인 상호작용의 분석을 통하여 정책결정의 우연성과 제한적 합리성을 설명하는 Kingdon 방법론의유용성을 다시 한 번 검증해 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olicy decision process of the stalking law in Korea. In this study, Kingdon's multiple stream model is used as a vehicle to explore how various institutional and actor factors influence institutional formation through complex interactions.
An analysis of the policy decision process that led to the adoption of the Stalking Act in 2021 was used to accomplish this. Four sub-themes are explored in this analysis: problem, policy, and political streams, along with the window of opportunity created by combining these three streams.
The analysis results show characteristics of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the Stalking Act. First, there were two criminal cases that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formation of the problem stream, namely the 'Nth Room' incident that occurred in 2020 and the Nowon-Gu murder case that occurred in early 2022. It was small organizations such as 'Tracker Team Flame' and 'Project Reset' that were the leading policy entrepreneurs in the problem stream.
As a second point, the policy stream was established long before the problem stream was conceived. Korean Women's Hotline was the first organization to raise the issue of stalking damage and set the standard for the search for policy alternatives through activities such as collecting stalking statistics and arranging seminars. Among the other important elements of the policy stream is the proposal of a stalking law in the National Assembly. From 1999 to 2021, a total of 24 stalking legislation were proposed. Women's and Children's Human Rights Forum members, like In-soon Nam and Chun-sook Chung, contributed substantially to the search for policy alternatives by proposing stalking bills repeatedly. During debating stalking laws, criminal constitution requirements, behavior categories, and an article about crime not prosecuted against victims' objections were discussed.
Third, in the political stream, the #MeToo movement increased public interest in gender violence, political parties revitalized legislative activity related to gender violence, the change of regime resulting from the presidential elections in 2017 and the general elections in 2020 created a favorable climate for enacting the Stalking Act. Key policy entrepreneurs in the political stream include President Moon Jae-in and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A consensus was formed between the political parties to enact the stalking law starting with the general election in April 2020, since all political parties pledged to legislate the stalking law.
By combining these three streams, a window of opportunity was created that enabled stalking legislation to be enacted. In the final stage of the legislative process, a sudden institutional transformation took place in the legislation and judiciary committee in which the original draft of the Stalking Act was changed into a two-stage approach.
The Stalking Act's process of decision-making demonstrates the utility of Kingdon's methodology, which explains the contingency and limited rationality of policy-making by analyzing complex and dynamic interactions between actors.
목차
Ⅰ. 서론
Ⅱ. 스토킹과 스토킹처벌법
Ⅲ. 이론적 접근: 다중흐름모형
Ⅳ. 스토킹처벌법 정책결정과정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청소년 불법 온라인 도박의 실태분석과 시사점
- 집회의 자유와 대화경찰관 제도에 관한 소고
- 마약범죄의 한계와 효율적 통제를 위한 제언
- 다중흐름모형(Multiple Stream Model)에 의한 스토킹처벌법 제정과정 연구
- 청소년의 가출경험이 성범죄 피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 부모방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경찰 현장대응의 실태와 개선에 관한 연구
- 빈곤지역의 범죄예방교육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주거시설 타겟하드닝 CPTED 사업의 효과 실증 연구 : 인천시 사례를 중심으로
- 스파이 활동과 영향력 공작에 대한 효과적 대응방안모색을 위한 미국의 정보공동체와 방첩대응추진체계 연구
- 경찰관 재난관리능력의 영향요인 연구
- 관광범죄 예방을 위한 전략 : 관광범죄 이론과 특성 분석을 통한 치안 활동
-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 학습된 무기력이 스마트폰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
- 「스토킹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의 문제점에 대한 연구
- 경찰공무원의 직무특성과 공공봉사동기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수사기관의 통신데이터 수집과 개인정보보호: 유럽연합(EU)의 논의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여성폭력 통합상담소 종사자의 대리외상 후 성장과 영향요인
- 사방댐의 토석류 포착 효과에 관한 정량적 분석
- Factors Influencing Health Literacy among Older Men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