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Problems of the Act on the Punishment of Stalking Crimes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류인모(In-Mo Lew) 정성남(Sung-Nam Jung) 이의주(Eui-Joo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20권 제2호, 15~3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지난 20여년간 무성한 논의에도 불구하고 입법되지 않았던 스토킹범죄에 대한 법률이 2021년 3월 24일 「스토킹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이라는 법명으로 제정되어 2021년 10월 21일부터 시행 되고 있다. 이 법률이 시행되면서 스토킹범죄에 대한 처벌규정이 신설되어 중범죄의 관문이 되어 사회적인 논의를 확산하고 있는 스토킹행위를 선제적으로 차단하고 스토킹범죄의 피해자들을 보호할수 있는 근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타당한 입법이라 생각된다.
한편 스토킹범죄는 협박죄의 기수 전(前)단계에 해당하는 행위로서 이미 형법상 추상적 위험범으로 판단하고 있고, 미수범도 처벌하고 있는 협박죄의 미수범으로 처벌이 가능한 범죄행위이다. 또한 경찰관이 현장에서 시행하는 응급조치와 긴급응급조치 등은 본 법률이 제정되기 전에도 일반적으로 행하여지던 조치이다. 따라서 이미 형법상 처벌 가능성이 있는 행위로서 이미 일반 경찰행정작용으로 시행하고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이 규정을 신설하기 위해 특별법을 제정하는 것이 타당한지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검증이 필요해 보인다.
결론적으로 이 법률의 각종 조치들에 대해서는 경찰행정작용의 일반법인 「경찰관 직무집행법」 에 규율하여 경찰관의 행정작용에 대한 일반적 권한을 두고 이 법률에서는 피해자보호를 위한 다양한 규정들을 중심으로 제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영문 초록
A law on stalking crimes, which had not been legislated for more than 20 years, was enacted on March 24, 2021 under the name of the 「Act on the Punishment of Stalking Crimes」 and came into effect on October 21, 2021. It is considered a valid legislation to newly establish provisions to punish stalking crimes and provide a basis for protection of victims affected by stalking crimes with the enforcement of this Act.
Under the Criminal Act, attempted criminals are also punished as an abstract endangerment offense. Stalking is an act that falls under the pre-completion stage of a crime of intimidation and can be punished as an attempted crime of intimidation. Therefore, it is questionable whether it is necessary to enact a special law for crimes that may be punished under the Criminal Act. However, it is considered a valid legislation because the reason for punishing stalking crimes is to preemptively punish the act of gradually increasing damage and to protect the victim from crime through this. Nevertheless, as emergency measures were generally implemented by police officers on the spot even before this Act was enacted, it is still questionable whether it is reasonable to enact a special law to establish these provisions.
Therefore, it would be desirable to regulate various measures in this Act under the general authority of police officers over administrative actions by the 「Act on the Performance of Duties by Police Officers」 and to prescribe for various provisions for the protection of victims under this Act.
목차
Ⅰ. 서론
Ⅱ. 제정 진행 과정
Ⅲ. 스토킹범죄처벌법의 문제점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청소년 불법 온라인 도박의 실태분석과 시사점
- 집회의 자유와 대화경찰관 제도에 관한 소고
- 마약범죄의 한계와 효율적 통제를 위한 제언
- 다중흐름모형(Multiple Stream Model)에 의한 스토킹처벌법 제정과정 연구
- 청소년의 가출경험이 성범죄 피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 부모방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경찰 현장대응의 실태와 개선에 관한 연구
- 빈곤지역의 범죄예방교육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주거시설 타겟하드닝 CPTED 사업의 효과 실증 연구 : 인천시 사례를 중심으로
- 스파이 활동과 영향력 공작에 대한 효과적 대응방안모색을 위한 미국의 정보공동체와 방첩대응추진체계 연구
- 경찰관 재난관리능력의 영향요인 연구
- 관광범죄 예방을 위한 전략 : 관광범죄 이론과 특성 분석을 통한 치안 활동
-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 학습된 무기력이 스마트폰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
- 「스토킹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의 문제점에 대한 연구
- 경찰공무원의 직무특성과 공공봉사동기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수사기관의 통신데이터 수집과 개인정보보호: 유럽연합(EU)의 논의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여성폭력 통합상담소 종사자의 대리외상 후 성장과 영향요인
- 사방댐의 토석류 포착 효과에 관한 정량적 분석
- Factors Influencing Health Literacy among Older Men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