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Youth Runaway Experience on Sexual Crime Damage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al Negligence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박웅신(Woong-Shin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20권 제2호, 37~5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비행생활 방식과 범죄피해 사이에는 유의미한 관계가 있다. 비행 생활을 하는 청소년들은 범죄 피해에 연루될 가능성이 더 높다. 특히 상대적 약자인 여성청소년은 성인 남성 혹은 또래 청소년에 의해 일자리 소개 및 숙식을 해결해주겠다는 명목으로 강제 성매매나 성폭행 등의 노출 위험이 크며 특히 가출한 이후 가출관련 카페나 유흥지역, 실시간 채팅을 통한 친구 소개 등을 통하여 범죄를 일으키거나 더 나아가 강도나 절도, 폭력, 성매매 등에 대한 범죄의 집단화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렇듯 청소년의 가출은 남녀청소년을 구분하지 않고 그들에게 범죄피해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이 연구는 2020년 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조사한 ‘아동청소년인권실태조사’의 2차 데이터를 실증적으로 분석한 결과 가출 경험이 부모 방임을 경유하여 성범죄 피해 경험에 이르는 경로는 정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가출 경험이 성범죄 피해 경험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가출 경험이 증가하면 성범죄 피해 경험이 증가하는 관계를 부모 방임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을의미한다.
영문 초록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delinquency and criminal damage. Adolescents living in delinquency are more likely to be involved in criminal damage. In particular, female adolescents, who are relatively weak, are at high risk of exposure to forced prostitution or sexual assault in the name of introducing jobs and accommodation by adult men or teenagers of their age. As such, the runaway of adolescents does not distinguish between male and female adolescents and provides them with opportunities for criminal damage.
The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second data of the “Children and Youth Human Rights Survey” surveyed by the Youth Policy Institute in 2020, and found that the path from runaway experience to sexual crime damage through parental neglect was static. In other words, parental neglec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mediates the relationship in which the experience of runaway directly affects the experience of sexual crime damage and the experience of sexual crime increases as the experience of runaway increas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설계 및 방법
Ⅳ. 분석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청소년 불법 온라인 도박의 실태분석과 시사점
- 집회의 자유와 대화경찰관 제도에 관한 소고
- 마약범죄의 한계와 효율적 통제를 위한 제언
- 다중흐름모형(Multiple Stream Model)에 의한 스토킹처벌법 제정과정 연구
- 청소년의 가출경험이 성범죄 피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 부모방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경찰 현장대응의 실태와 개선에 관한 연구
- 빈곤지역의 범죄예방교육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주거시설 타겟하드닝 CPTED 사업의 효과 실증 연구 : 인천시 사례를 중심으로
- 스파이 활동과 영향력 공작에 대한 효과적 대응방안모색을 위한 미국의 정보공동체와 방첩대응추진체계 연구
- 경찰관 재난관리능력의 영향요인 연구
- 관광범죄 예방을 위한 전략 : 관광범죄 이론과 특성 분석을 통한 치안 활동
-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 학습된 무기력이 스마트폰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
- 「스토킹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의 문제점에 대한 연구
- 경찰공무원의 직무특성과 공공봉사동기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수사기관의 통신데이터 수집과 개인정보보호: 유럽연합(EU)의 논의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여성폭력 통합상담소 종사자의 대리외상 후 성장과 영향요인
- 사방댐의 토석류 포착 효과에 관한 정량적 분석
- Factors Influencing Health Literacy among Older Men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