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Limitations of Drug Crimes and Suggestion for Efficient Control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김대권(Dae-Kwo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20권 제2호, 1~14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3.05.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전 세계적으로 마약범죄의 심각성이 확대되면서 이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고 문제를 해결하고자 다양한 대책들이 제시되고 있다. 특히 약물남용으로 인한 문제는 개인의 문제를 넘어 국가적 문제로 다루어지고 있다. 마약범죄는 국제성 범죄, 피해자 없는 범죄 등 다양한 형태로 규정되고 처벌도 각국의 사회·문화적 배경에 따라 다르게 인식되어 진다.
마약범죄는 현실을 도피하고 싶은 개인의 문제, 조직범죄자들에 의한 의도적인 중독, 값비싼 마약을 구입하기 위한 약물중독자의 또다른 범죄, 마약 사용 후 환각상태에서의 2차 범죄 등 직·간접적인 원인으로도 범죄가 발생되고 있다. 초국가적 마약범죄는 해당 국가의 경제활동을 위협하고 국가의 안보를 침해하므로 국가적·사회적 차원에서도 마약범죄의 심각성을 인식하여야 한다. 이에 따른 포괄적인 형사 정책적 · 법적 · 제도적 대응책도 신속하게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마약범죄의 일반적 특징을 중심으로 현황을 파악하고, 마약의 사용자와 공급·유통의 특징을 중심으로 실태를 파악하였다. 또한 범죄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원인을 파악하여 마약범죄의 한계를 지적하고 이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마약범죄 통제정책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As drug crimes become a very serious problem all over the world, various measures are suggested to analyze the cause and solve the problem. Drug abuse-related problems are currently considered not just a personal matter, but a national issue. Drug crimes therefore have varying definitions such as international crime, victimless crime, etc. and punishment is perceived differently depending on each country's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Drug crimes are attributed to direct or indirect causes including an individual attempt to escape from reality, intended abuse by criminal groups, crimes committed by drug addicts to buy expensive drugs, and secondary crimes committed in drug-induced hallucinations.
Transnational drug crimes threaten the country's economic activity and national security, so it is required to recognize the seriousness of drug crimes at national and society levels.
Accordingly, comprehensive countermeasures need to be developed by establishing related criminal policies, laws, and institutions.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the current situation centering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drug crimes and to identify the reality center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drug users and drug supply and distribution. This study also determined the causes based on criminological evidence to point out the limitations of drug crimes and proposed implications for policies to control drug crimes.
목차
Ⅰ. 서론
Ⅱ. 마약범죄의 일반적 특징과 현황
Ⅲ. 마약범죄의 범죄학적 논의 및 한계
Ⅳ. 마약범죄의 통제에 관한 제언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 청소년 불법 온라인 도박의 실태분석과 시사점
- 집회의 자유와 대화경찰관 제도에 관한 소고
- 마약범죄의 한계와 효율적 통제를 위한 제언
- 다중흐름모형(Multiple Stream Model)에 의한 스토킹처벌법 제정과정 연구
- 청소년의 가출경험이 성범죄 피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 부모방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경찰 현장대응의 실태와 개선에 관한 연구
- 빈곤지역의 범죄예방교육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주거시설 타겟하드닝 CPTED 사업의 효과 실증 연구 : 인천시 사례를 중심으로
- 스파이 활동과 영향력 공작에 대한 효과적 대응방안모색을 위한 미국의 정보공동체와 방첩대응추진체계 연구
- 경찰관 재난관리능력의 영향요인 연구
- 관광범죄 예방을 위한 전략 : 관광범죄 이론과 특성 분석을 통한 치안 활동
-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 학습된 무기력이 스마트폰 의존도에 미치는 영향
- 「스토킹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법률」의 문제점에 대한 연구
- 경찰공무원의 직무특성과 공공봉사동기가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수사기관의 통신데이터 수집과 개인정보보호: 유럽연합(EU)의 논의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여성폭력 통합상담소 종사자의 대리외상 후 성장과 영향요인
- 사방댐의 토석류 포착 효과에 관한 정량적 분석
- Factors Influencing Health Literacy among Older Men and Women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