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rime-related Media Influence on Confidence in the Police: The Moderating Effect of Criminal Victimization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임하늘(Ha-Neul Yim)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19권 제2호, 243~260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5.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범죄 관련 미디어 노출 수준과 범죄피해 경험이 경찰에 대한 신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 나아가, 경찰에 대한 신뢰에 있어 미디어의 효과가 범죄피해 경험에 따라 달라지는지 검증한다. 이를 위해 전국 만 14세 이상 가구원을 모집단으로 수집된 전국범죄피해 조사 2018 설문조사 자료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기술통계분석, 상관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범죄 관련 미디어 노출 수준이 높을수록 경찰 신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찰에 대한 미디어의 영향력은 범죄피해 경험 여부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범죄피해 경험이 없는 사람일 경우 미디어 노출 정도는 경찰 신뢰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범죄피해 경험이 있는 사람은 범죄 관련 미디어에 노출될수록 오히려 경찰 신뢰가 낮아지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미디어가 경찰에 대한 신뢰를 평가하는 데 있어 주요한 요 소임을 시사하며 경찰 이미지 제고를 위해 미디어의 역할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함을 보여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that crime-related media consumption has on confidence in the police. Moreover, the study investigates whether victimization experience moderates the impact of crime-related media on confidence in the police. Employing OLS regres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crime-related media is positively related to confidence in the police. In addition, the impact of media consumption on confidence in the police varies by victimization experience. For respondents with no victimization experience, the relationship between media consumption and confidence in the police is positive. However, for respondents with victimization experience, crime-related media consumption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confidence in the police. The findings imply that crime-related media consumption is an important factor in shaping confidence in the police and thereby law enforcement should work to handle their media relations to increase confidence in the polic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토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다문화 스트레스와 학교폭력 피해경험에 관한 연구: 학교 요인을 중심으로
- 심신미약 살인범죄자의 양형 요인 분석
- 청소년의 폭력해결역량이 학교폭력에 대한 태도와 학교전담경찰관의 기대역할에 미치는 영향
- 경찰 자체 선도프로그램 ‘희망동행교실’의 효과성 분석: 담당 경찰관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 경호환경 변화에 따른 대통령경호처 특별사법경찰제도의 실효적 운영방안 연구
- 남·여 경찰공무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 비교 연구
- 청소년 인권교육 경험이 성피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 범죄 관련 미디어가 경찰 신뢰에 미치는 영향: 범죄피해 경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경찰조직의 예측치안 시스템에 대한 경찰관 인식과 태도 분석: 운영, 인식, 결정에 대한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 경찰관의 조직공정성 지각이 조직지원인식과 직무만족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북경찰청 경찰관의 인식을 중심으로
- 자치경찰활동 평가모형 구축: 성과지표 개발을 중심으로
- 기계경비시스템의 발전을 위한 AI 응용
- 경기도 읍면동 수준에서 코로나 전후의 범죄분포 변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최근 북한의 노동당규약 개정에 따른 대남혁명전략 변화 가능성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 한국형사정책연구원
- 경찰학논총
- 사회과학연구
- 인권이론과 실천
- 한국경찰연구
- 한국공안행정학회보
- 방송통신연구
- 한국경찰연구
- 경찰학연구
- Journal of Police Science and Administration
- Policing and Society
- Journal Of Criminal Justice And Popular Culture
- Policing and Society
- American Journal of Police
- Social Problems
-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 Policing and Society
- US Department of Justice, Office of Justice Programs, Bureau of Justice
- Journal of Research in Crime and Delinquency
- Journal of Criminal Justice and Popular Culture
- Journal of Communication
- John Libbey
- Deviant Behavior
- Rocky Mountain Media Watch
- Journal of Criminal Justice
- Deviant Behavior
- Rowman & Littlefield
- Journal of Police Science and Administration
- In The Oxford Handbook of Criminology
- Policing & Society
- Law and Society Review
- Thomson Wadsworth
- Social Problems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