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Acculturation Stress and Victims of School Violence among Multicultural Adolescents: Focusing on School Factors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백성은(Sung-Eun Baek) 조상현(Sang-Hyun Cho)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19권 제2호, 167~18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5.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의 청소년들이 한국 및 외국인 부모 나라의 문화에 따른 스트레스가 학교폭력의 피해 경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며, 학교 요인 즉, 교사의 애착과 학업 영역이 학교폭력의 피해 경험에 매개효과를 가지는 가를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고자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행한 다문화청소년 패널조사의 2018 데이터를 바탕으로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SPSS 21.0을 활용해 기술통계와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Mplus 7.0 프로그램을 통한 구조방정식모델을 활용해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먼저, 다문화 청소년 대상의 학교폭력 피해경험에 대한 다문화 스트레스의 직접적 효과는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 관심을 둔 주된 연구 가설로 다문화 청소년의 다문화 스트레스와 집단괴롭힘 피해의 관계에 있어서 학교요인의 매개효과가 유의한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문화 스트레스와 학교폭력 피해경험 사이의 학교 요인의 매개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한국사회 적응과 학교폭력 피해경험, 학교요인 등 관련 요인 간 경로를 밝혔다는 점에 의의가 있으며,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라 학교폭력 피해를 근 절할 수 있는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bullying and acculturation stress experienced by multicultural adolescents and their school adaptation as a mediation variabl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Multicultural Adolescent Panel Study data nationally collected by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in 2018. We first examined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es using the SPSS 21.0. After that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test the proposed pathway among the variables using Mplus 7.0.
First, acculturation stress was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school bullying. Second, school adaptation, including teachers’ support and academic skills were found to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cculturation stress and bullying.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investigations regarding causes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victimized from bullying as school violence from the standpoint of acculturation stress and school adaptation. Based on this results, policy implications were recommend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토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다문화 스트레스와 학교폭력 피해경험에 관한 연구: 학교 요인을 중심으로
- 심신미약 살인범죄자의 양형 요인 분석
- 청소년의 폭력해결역량이 학교폭력에 대한 태도와 학교전담경찰관의 기대역할에 미치는 영향
- 경찰 자체 선도프로그램 ‘희망동행교실’의 효과성 분석: 담당 경찰관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 경호환경 변화에 따른 대통령경호처 특별사법경찰제도의 실효적 운영방안 연구
- 남·여 경찰공무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 비교 연구
- 청소년 인권교육 경험이 성피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 범죄 관련 미디어가 경찰 신뢰에 미치는 영향: 범죄피해 경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경찰조직의 예측치안 시스템에 대한 경찰관 인식과 태도 분석: 운영, 인식, 결정에 대한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 경찰관의 조직공정성 지각이 조직지원인식과 직무만족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북경찰청 경찰관의 인식을 중심으로
- 자치경찰활동 평가모형 구축: 성과지표 개발을 중심으로
- 기계경비시스템의 발전을 위한 AI 응용
- 경기도 읍면동 수준에서 코로나 전후의 범죄분포 변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최근 북한의 노동당규약 개정에 따른 대남혁명전략 변화 가능성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