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찰 자체 선도프로그램 ‘희망동행교실’의 효과성 분석: 담당 경찰관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Police Officers’ Perceived Effectiveness of the Hope-Going Together Program for Juvenile Delinquents
발행기관
한국치안행정학회
저자명
김중곤(Joonggon Kim)
간행물 정보
『한국치안행정논집』제19권 제2호, 71~8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05.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경찰청 자체 선도프로그램인 희망동행교실을 수행한 담당 경찰관들의 인식을 실증 분석한 것이다. 2019년 10월부터 시행된 희망동행교실의 표준모델은 기존의 교육 및 상담 위주의 프로그램에서 탈피하여 회복적 사법의 관점 및 전략을 도입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전국의 희망동행교실 담당 경찰관 167명을 상대로 한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담당경찰관들은 희망동행교실이 학생들 의 심리역량강화, 학교생활 적응개선 등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한 반면, 대인관계 기술향상에는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답변하였다. 한편, 다중회귀분석결과, 담당자의 보람 및 만족도, 근무경력, 직무만족 및 몰입도, 여성 변수는 프로그램의 도움정도 및 선도효과에 정의 효과를 나타낸 반면, 직무 교육 이수여부, 스트레스의 정도는 프로그램의 도움정도 및 선도효과에 부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 한 프로그램의 개선점 및 발전방안에 대한 서술형 응답을 질적 분석한 결과 5개의 주제 및 20개의 부주제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에 대한 의의 및 활용방안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I analyzed police officers’ perceived effectiveness of the Hope-Going Together Program, which is a police-led program for juvenile delinquents. The standard model of the Hope, Going Together Program, that started in October 2019, is meaningful in that it introduced restorative justice approaches. As a result of analyzing a survey of 167 police officers in charge of the program, the police officers responded that the program was helpful in strengthening students’ psychological capacity and improving school adjustment. However, they responded that the program was barely effective in improving social skills. The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showed that the degree of work satisfaction of the police officers in charge, the period of work, and women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ived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hile the degree of work stress and the completion of related job training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perceived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Lastly, 5 topics and 20 sub-topics were found as a result of qualitative analysis of police officers’ descriptive respons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we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중곤(Joonggon Kim). (2022).경찰 자체 선도프로그램 ‘희망동행교실’의 효과성 분석: 담당 경찰관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치안행정논집, 19 (2), 71-88

MLA

김중곤(Joonggon Kim). "경찰 자체 선도프로그램 ‘희망동행교실’의 효과성 분석: 담당 경찰관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치안행정논집, 19.2(2022): 71-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