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mpacts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cusing on Police Officers in Jeonbuk Provincial Police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이명우(Myung-Woo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19권 제2호, 205~22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5.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경찰공무원의 조직공정성(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대인관계 공정성, 정보공정성) 지각 이 그들의 조직지원인식, 직무만족, 그리고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분배공정성은 조직지원인식과 직무만족에 직접적인 정(+)의 영 향을, 직무만족과 조직시민행동에 간접적인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절차공정성 은 직무만족과 조직시민행동에 직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인관계 공 정성은 조직지원인식, 직무만족, 그리고 조직시민행동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선행연구에서 고려되지 않았던 정보공정성은 조직지원인식, 직무만족, 조직시민행동에 직접적인 영향뿐만 아니라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정보공정성을 포함 한 네 가지 분류에 대한 조직공정성 인식이 경찰공무원의 다양한 행동과 태도에 각기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Especially, this study examines whether several forms of organizational justice(i.e.,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justice, interpersonal justice, and informational justice) influenc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rough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1) distributive justice directly affected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and indirectly affected citizenship behavior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job satisfaction; (2) procedural justice directly affected job satisfaction and citizenship behavior. On the other hand, (3) interpersonal justice appeared to have no effect on the resulting attitudes and behavior. Lastly, (4) information justice, has not been studied yet in policing, directly affected all the resulting attitudes and behavior and also indirectly affected citizenship behavior through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nd job satisfaction. Future research needs to examine whether four types of organizational justice, involving informational justice, influence various police officers’ attitudes and behaviors.
목차
Ⅰ. 서론
Ⅱ. 문헌검토 및 연구가설
Ⅲ. 조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다문화 스트레스와 학교폭력 피해경험에 관한 연구: 학교 요인을 중심으로
- 심신미약 살인범죄자의 양형 요인 분석
- 청소년의 폭력해결역량이 학교폭력에 대한 태도와 학교전담경찰관의 기대역할에 미치는 영향
- 경찰 자체 선도프로그램 ‘희망동행교실’의 효과성 분석: 담당 경찰관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 경호환경 변화에 따른 대통령경호처 특별사법경찰제도의 실효적 운영방안 연구
- 남·여 경찰공무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 비교 연구
- 청소년 인권교육 경험이 성피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 범죄 관련 미디어가 경찰 신뢰에 미치는 영향: 범죄피해 경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경찰조직의 예측치안 시스템에 대한 경찰관 인식과 태도 분석: 운영, 인식, 결정에 대한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 경찰관의 조직공정성 지각이 조직지원인식과 직무만족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북경찰청 경찰관의 인식을 중심으로
- 자치경찰활동 평가모형 구축: 성과지표 개발을 중심으로
- 기계경비시스템의 발전을 위한 AI 응용
- 경기도 읍면동 수준에서 코로나 전후의 범죄분포 변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최근 북한의 노동당규약 개정에 따른 대남혁명전략 변화 가능성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