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ative Study of Influence Factors on Job Satisfaction of Male and Female Police Officers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박병주(Byung-Joo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19권 제2호, 133~14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5.30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남성 경찰공무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요인과 여성 경찰공무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비교 하여 남성 경찰공무원과 여성 경찰공무원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남성 경찰공무원과 여성 경찰공무원의 직무만족도의 영향요인을 분석 및 비교하고자 하는 이유는 여성 경찰공무원의 효과적인 활용이 갖는 중요성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2020년 하반기 경찰관 직무만족도 조사를 활용하였으며, 조사 기간 은 2020년 10월 5일부터 10월 18일 동안 진행되었다. 조사 응답자는 총 75,462명이며 이 중 남성 경찰공무원은 66,566명이며, 여성 경찰공무원은 8,896명이다.
연구결과, 남성 경찰공무원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교육, 인사·성과관리, 직무, 복지 그리고 근무환경 순으로 조사되었다. 여성 경찰공무원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교육, 직무, 인사·성과관리, 복지 그리고 근무환경 순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남성 경찰공무원 과 여성 경찰공무원의 직무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요인으로는 교육으로 적절한 교육의 제공이 모든 경찰공무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남성 경찰공무원은 인사·성과관리, 여성 경찰공무원은 직무로 각각 직무만족도에 있어서 각기 다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남성 경찰공무원 뿐 아니라 여성 경찰공무원의 직무만족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male police officers and female police officers were identified by compar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job satisfaction of male police officers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job satisfaction of female police officers. The reason for analyzing and comparing the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of male and female police officers in this study is the importance of effective use of female police officer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police officer job satisfaction survey in the second half of 2020 was used, and the survey period was from October 5 to October 18, 2020. A total of 75,462 people responded, of which 66,566 were male police officers and 8,896 female police officer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actors affecting the job satisfaction of male police officers were investigated in the order of education, HR/performance management, job, welfare, and working environment. The factors affecting the job satisfaction of female police officers were investigated in the order of education, job, personnel/performance management, welfare, and working environment. 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most influential factor on the job satisfaction of male and female police officers is education, and the provision of appropriate education affects the job satisfaction of all police officers. It can be seen that male police officers have different effects on personnel management and performance management, and female police officers have different effects on job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intend to make policy recommendations to improve job satisfaction of female police officers as well as male police office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다문화 스트레스와 학교폭력 피해경험에 관한 연구: 학교 요인을 중심으로
- 심신미약 살인범죄자의 양형 요인 분석
- 청소년의 폭력해결역량이 학교폭력에 대한 태도와 학교전담경찰관의 기대역할에 미치는 영향
- 경찰 자체 선도프로그램 ‘희망동행교실’의 효과성 분석: 담당 경찰관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 경호환경 변화에 따른 대통령경호처 특별사법경찰제도의 실효적 운영방안 연구
- 남·여 경찰공무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 비교 연구
- 청소년 인권교육 경험이 성피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 범죄 관련 미디어가 경찰 신뢰에 미치는 영향: 범죄피해 경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경찰조직의 예측치안 시스템에 대한 경찰관 인식과 태도 분석: 운영, 인식, 결정에 대한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 경찰관의 조직공정성 지각이 조직지원인식과 직무만족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북경찰청 경찰관의 인식을 중심으로
- 자치경찰활동 평가모형 구축: 성과지표 개발을 중심으로
- 기계경비시스템의 발전을 위한 AI 응용
- 경기도 읍면동 수준에서 코로나 전후의 범죄분포 변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최근 북한의 노동당규약 개정에 따른 대남혁명전략 변화 가능성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