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nstruction of Autonomous Police Affairs Evaluation Model: Focusing on Development of Performance Indicators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김상호(Sang-Ho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19권 제2호, 19~3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05.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한국에 새롭게 도입된 자치경찰활동을 중심으로 이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모형을 구축하고 이에 따라 성과지표를 개발해 보았다. 경찰활동이 제공되는 과정을 투입-산출-결과라는 논리모형을 중심으로 분류한 후, 선행연구와 기존 성과지표, 그리고 전문가(학계와 실무 총 20명) 조사를 통해 한국형 자치경찰활동에 적합한 성과지표(N=97)를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학계와 실무 전문가 모두 결과요소(M=5.66)를 가장 중요하게 평가했고, 투입요소(M=5.57), 그리고 산출요소(M=5.24)의 순으로 평가했다. 중요도 전체 평균값을 기준으로 평균값보다 높은 중요도를 보인 성과지표를 추출한 바, 투입 10개, 산출 21개, 결과 15개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과정별로 정제된 성과지표들에 대해 학계와 실무 전문가 사이의 중요도 차이를 명확하게 확인하기 위해 중요도 평균 값을 기준으로 4사분면을 구성해 분석해 보았다. 두 집단 모두로부터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평가받는 Ⅰ사분면에 위치한 평가요소들이 자치경찰활동 성과지표로 우선 고려될 수 있게 된다. 이들은 투입 〔자치경찰 법규 및 제도 구축 수준, 자치경찰사무담당 경찰공무원 전문성과 역량〕, 산출〔관계기관 과의 협업수준, 가정폭력·학교폭력·성폭력 예방업무 실적, 지역특성을 반영한 자치경찰사무(활동) 발굴 노력, 112신고 출동 만족도, 지역 내 사회질서 유지를 위한 정책 및 기획의 적정성, 피해자 보호조치 건수〕, 결과〔관내 경찰에 대한 지역주민의 신뢰도, 지역주민 체감안전도, 관내 경찰활동의 공정성에 대한 지역주민 인식, 관내 경찰의 전문성에 대한 지역주민 인식, 지역주민의 범죄두려움 수준, 지역맞춤형 치안시책 지역주민 만족도, 학교폭력 안전도〕 지표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치경찰활동의 평가에 필요한 후속 연구방향과 시사점 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performance indicators that can evaluate the newly introduced autonomous police activities in Korea were developed. After classifying the process in which police activities are provided based on the logic model of input-output-outcome, performance indicators suitable for Korean-style autonomous police activities were analyzed through previous research, existing performance indicators, and expert surveys(a total of 20 people in academia and practical field).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oth academia and practical experts evaluated the outcome indicators(M=5.66) as the most important, followed by the input indicators(M=5.57) and the output indicators(M=5.24) in that order. Based on the overall average value of importance, performance indicators with higher importance than the average were extracted, and there were 10 inputs, 21 outputs, and 15 results.
Second, in order to clearly confirm the difference in importance between acardemia and practical experts for the performance indicators for each logic model course, the four quadrants were construc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average value of importance. Performance indicators located in Quadrant Ⅰ, which are evaluated as relatively important from both groups, can be considered first as performance indicators for autonomous police activities. These are 2 inputs, 6 outputs, and 7 outcom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ollow-up research directions and implications necessary for the evaluation of autonomous police activities were examined.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분석
Ⅲ. 조사설계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종합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다문화 스트레스와 학교폭력 피해경험에 관한 연구: 학교 요인을 중심으로
- 심신미약 살인범죄자의 양형 요인 분석
- 청소년의 폭력해결역량이 학교폭력에 대한 태도와 학교전담경찰관의 기대역할에 미치는 영향
- 경찰 자체 선도프로그램 ‘희망동행교실’의 효과성 분석: 담당 경찰관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 경호환경 변화에 따른 대통령경호처 특별사법경찰제도의 실효적 운영방안 연구
- 남·여 경찰공무원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 비교 연구
- 청소년 인권교육 경험이 성피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 범죄 관련 미디어가 경찰 신뢰에 미치는 영향: 범죄피해 경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경찰조직의 예측치안 시스템에 대한 경찰관 인식과 태도 분석: 운영, 인식, 결정에 대한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 경찰관의 조직공정성 지각이 조직지원인식과 직무만족 및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북경찰청 경찰관의 인식을 중심으로
- 자치경찰활동 평가모형 구축: 성과지표 개발을 중심으로
- 기계경비시스템의 발전을 위한 AI 응용
- 경기도 읍면동 수준에서 코로나 전후의 범죄분포 변화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최근 북한의 노동당규약 개정에 따른 대남혁명전략 변화 가능성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