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찰조직의 계층구조와 조직특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경북경찰청의 소속부서 및 채용형태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effect that the Hierarchy Structure of the Organization of Police and Characteristic reaches to the Organization effectiveness - Focused the Department and form of the Employment of Kyeongbuk Provincial Police Agency
발행기관
한국치안행정학회
저자명
허원구(Won-Gu Hur) 이정훈(Jong-Hun Lee)
간행물 정보
『한국치안행정논집』제8권 제4호, 27~53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행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2.28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경찰조직의 효율적인 업무수행을 위하여 계층구조와 조직특성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경찰공무원들의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가를 살펴보는 연구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최근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경찰조직특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고, 이들 영향관계에서 측정모형을 검증하고, 회귀분석과 ANOVA를 순차적으로 적용해 봄으로써 조직의 효율성 제고는 물론 바람직한 경찰조직의 계층구조를 확립하고자 하는 것이다. 경찰조직은 각종 범죄와 위기상황에 대응하기 위하여, 상하간의 명령통일성을 유지하는 엄격한 계층구조를 지니고 있다. 경찰조직은 철저한 법규적용에 따른 규칙과 절차의 준수는 조직의 안정성과 지속성을 가지는 장점이 있지만, 반면에 자기 방어수단으로 획일적인 규정을 적용하여 경찰목적달성이 불충분하거나 불가능해지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경찰조직의 특성에 따라 경찰조직의 소속부서와 채용형태에 따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이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경찰서 부서의 조직 특성 중에서 근무부서 특성에서 직무만족에 대한 차이검증 결과는 근무부서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얻었지만, 채용형태에서는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 못했다. 조직몰입에 있어서는 경찰공무원의 근무부서, 채용형태가 조직몰입에는 모두 p<.01 수준에서 조직몰입에 차이가 나타났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사회적인정감의 향상, 경찰공무원 신분보장과 징계에 대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접근, 구성원들의 상호신뢰감 향상, 직무충실화와 임파워먼트의 향상, 승진제도 등의 다양한 경제적 보상이 필요할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e efficient conduction of business aspect of the organization through the job satisfaction improvement of the police officers, this study is the research on the effect that it reaches to the organization effectiveness according to the organization of police characteristic. recently,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that organization of police characteristic that the concern is raised reaches to the organization effectiveness is analyze. The measurement model is verified in these influencing relationships. The hierarchy structure of the desirable organization of police as well as organization efficiency consideration tries to be established by applying the regression analysis and ANOVA successively. In order to risked respond with a dangerous situation and various crime of police organization, unity command of the upper and lower classes are forming strict the hierarchy structure. The police organization according to application of rigid rules have merited stable and continuous of organization. As analysis result to the organization effectiveness according to the hierarchy structure of the organization of police and characteristic, the meaningful difference was generated.

목차

Ⅰ. 서론
Ⅱ. 경찰조직의 계층구조와 조직특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
Ⅲ. 연구모형 및 조사설계
Ⅳ. 분석결과 및 정책적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허원구(Won-Gu Hur),이정훈(Jong-Hun Lee). (2012).경찰조직의 계층구조와 조직특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경북경찰청의 소속부서 및 채용형태를 중심으로. 한국치안행정논집, 8 (4), 27-53

MLA

허원구(Won-Gu Hur),이정훈(Jong-Hun Lee). "경찰조직의 계층구조와 조직특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경북경찰청의 소속부서 및 채용형태를 중심으로." 한국치안행정논집, 8.4(2012): 27-5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