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among Police Officers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신성원(Seong-Won Sin)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8권 제4호, 237~26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2.28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제까지 경찰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연구는 매우 드물었다. 그 동안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연구들은 대부분 참전 군인들에 대한 것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천재지변, 교통사고, 산업재해사고, 강간, 인질, 조직폭력 등 다양한 사건의 희생자들과 경찰공무원, 소방공무원, 의사 같은 위기상황에 노출되기 쉬운 집단들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연구가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경찰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에 따르면 최근에 위기상황을 경험한 경찰공무원 중 상당수가 심각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며, 사기, 결근, 건강, 조기 퇴직, 부정적 가족관계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증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경찰공무원의 실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수준을 파악하고,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수준을 비교 분석하였는데, 이를 바탕으로 하여 향후 경찰공무원 채용·인사·교육 등의 분야에 유용한 정책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경찰공무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성별, 결혼관계, 학력, 계급, 연령, 근무기간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수준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독립표본 T-분석과 일원변량 분산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경찰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수준은 경찰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수준을 살펴본 다른 국내 연구결과들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고, 성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끝으로 경찰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대책으로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의심 및 취약 경찰공무원의 관리, 사회적 지지망의 강화, 근로자 지원 프로그램의 활용, 위기상황 스트레스 관리의 도입,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관리교육 실시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Studies on police officers with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are very rare. Most studies focus on military veterans. However, there is increasing interest in other groups who are susceptible like victims of disaster, motor vehicle accidents, industrial disaster, rape, hostage, organized crime and police officers, fire fighters, health workers.
According to studies, a large number of police officers who had recently been exposed to a critical incident has severe stress and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s impact on morale, absenteeism, health, early retirement, negative family relationships.
In this study, I inquired into the actual level of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among police officers and compared and analyzed the level of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I wanted to provide useful data for policy making.
The level of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among police officers was relatively high, when compared to other studies. A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gender.
Finally, I suggested some countermeasures. I presented the management of police officers who are suffering and vulnerable to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the reinforcement of social support net, the application of employee assistance programs, the introduction of critical incident stress management, the training of management techniques for post traumatic stress disorder.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경찰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실태 분석
Ⅳ. 경찰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대책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럽 지방자치단체의 재난관리 시스템 : 영국과 독일 사례의 특징과 시사점
- 수사 경찰의 인권보호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스마트폰뱅킹 서비스의 무권한 부정사용
- 지역경찰에서 협력단체의 새로운 유형화에 따른 활성화 방안
- 범죄 발생에 대한 계절요인 분석
- 경찰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관한 연구
- 성범죄에 대한 양형기준의 국제비교 : 한국, 미국, 영국의 양형기준에 나타난 형량의 비교
- 미국 교정공무원 교육훈련에 대한 고찰
- 경찰조직의 계층구조와 조직특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경북경찰청의 소속부서 및 채용형태를 중심으로
- 범죄피해에 대한 공포의 원인과 여성 : 성폭력범죄의 두려움과 여성의 범죄에 대한 공포는 관련이 있는가?
- 한국 민간경비업의 준공영제도입을 위한 연구
- 국방개혁안의 논의와 발전방향
참고문헌
- 연세사회복지연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한국치안행정논집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한국위기관리논집
- 사회과학연구
- 신경정신의학
-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보
- 정서·행동장애연구
- Journal of Police and Criminal Psychology
- Work & Stress
-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 Psychiatry Research
-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 Journal of Police and Criminal Psychology
- Current Medical Research and Opinion
- Psychiatric Clinics of North America
- Psychosom Med
- Journal of Trauma Stress
- Journal of Police Science and Administration
- Work & Stress
-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 Journal of Police Science & Administration
- Psychological reports
- Psychological Reports
- Anxiety, Stress & Coping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국가위기관리학회보 제14권 제2호 목차
- 기후 위기 대응 및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거버넌스 비교 - 계층적 거버넌스에서 협력적 거버넌스로
- 협력적 비상 관리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협업 행정과 리더십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