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New Typology of Cooperative Groups in the Local Police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김용태(Yong-Tae Kim) 김광주(Kwang-Ju Kim) 조두원(Du-Won Jo)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8권 제4호, 1~2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2.28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지역경찰에서 협력단체의 명확한 개념정의, 유형화,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지역경찰에서 협력단체의 활동이 비정형적으로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이를 경험적으로 분류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를 극복하고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찰경력이 많은 고위 경찰관들을 중심으로 델파이기법(The Delphi Technique)을 활용하여 협력단체의 새로운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이 델파이 기법은 공개적인 논의로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의 낭비를 줄일 수 있으며, 익명성이 보장될 수 있고, 설문응답이 독립적이므로 자유롭고 솔직한 전문가의 의견을 들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실무경험과 새로운 유형화를 통해 얻어진 협력단체에 관해 연구한 결과를 종합하면, 협력단체는 협력단체의 구성근거별, 활동목적별, 기여방법별, 전문지식 여부별, 활동의 적극성 여부별, 경찰소관기능별 6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고 그 유형에 따라 경찰과 지역주민 등이 협력하여 치안유지의 한 축으로서 활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지역경찰에서 협력단체를 어떻게 하면 더 발전된 방향으로 운영할까 하는 부분이 과제이다. 협력단체의 효율적인 운영을 강구하기 위한 기틀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새로운 유형별 분류가 시사점이 크다고 할 것이다.
영문 초록
In order to respond various demands from regional communities, cooperative groups are playing more important roles in local police. Cooperative groups co-produce policing activities with local polices. However, the concept of cooperative group in local police still remains ambiguous.
This makes it difficult to study activities of cooperative groups in local police. So, this study clarifies the concept of cooperative group in local police and searches for it's effective utilization.
For this end, the study tries to organize a new typology of cooperative groups using a Delphi technique. The technique is a useful tool to collect and sum up experts' ideas with limited research resources such as time and funds. According to the study, cooperative groups are divided into 6 categories such as composition criteria, purposes, contribution, specialties, functions and aggressiveness of their activities. Based on the new typology, the study proposed situational alternative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cooperative groups in local police.
목차
Ⅰ. 서론
Ⅱ. 지역경찰의 협력단체에 대한 이론적 고찰
Ⅲ. 지역경찰에서 협력단체의 새로운 유형화 및 활성화 방안
Ⅳ. 정책적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럽 지방자치단체의 재난관리 시스템 : 영국과 독일 사례의 특징과 시사점
- 수사 경찰의 인권보호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스마트폰뱅킹 서비스의 무권한 부정사용
- 지역경찰에서 협력단체의 새로운 유형화에 따른 활성화 방안
- 범죄 발생에 대한 계절요인 분석
- 경찰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관한 연구
- 성범죄에 대한 양형기준의 국제비교 : 한국, 미국, 영국의 양형기준에 나타난 형량의 비교
- 미국 교정공무원 교육훈련에 대한 고찰
- 경찰조직의 계층구조와 조직특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경북경찰청의 소속부서 및 채용형태를 중심으로
- 범죄피해에 대한 공포의 원인과 여성 : 성폭력범죄의 두려움과 여성의 범죄에 대한 공포는 관련이 있는가?
- 한국 민간경비업의 준공영제도입을 위한 연구
- 국방개혁안의 논의와 발전방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국가위기관리학회보 제14권 제2호 목차
- 기후 위기 대응 및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거버넌스 비교 - 계층적 거버넌스에서 협력적 거버넌스로
- 협력적 비상 관리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협업 행정과 리더십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