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Gender and Fear of Crime : Assessing the Impact of Fear of Sexual Assaults on Women's Fear of Crime
- 발행기관
- 한국치안행정학회
- 저자명
- 김은영(Eun-You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치안행정논집』제8권 제4호, 169~19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2.28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여성의 높은 범죄피해의 공포가 여성의 성폭력범죄피해에 대한 두려움이 다른 종류의 범죄피해에 대한 두려움으로까지 확대되어 나타난 현상이라고 설명하고 있는 Ferraro(1995;1996)의 “성폭력의 그림자 명제(the shadow of sexual assault thesis)”과 국내와 외국의 선행연구모델들을 적용하여 직접적인 성폭력범죄피해의 공포가 개별적인 유형의 범죄피해의 공포를 증가시키는데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가를 다양한 범죄피해를 유발하는 요소들과 함께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총 348명의 서울시민여성의 설문데이터가 사용되었다. 연구의 분석을 위해서는 네 가지 종류의 범죄피해의 공포, 폭력범죄, 집밖에서의 강도, 집안에서의 강도, 그리고 소매치기범죄피해의 공포를 구분하여 다수의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분석결과, 성폭력범죄피해의 공포는 연구에서 사용된 다른 범죄피해공포에 영향을 주는 요인보다도 네 가지 종류의 범죄의 공포에 가장 강력하고 영향력 있는 요인이라는 것이 밝혀졌다. 연구결과를 근거로, 본 연구는 서울의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도 성폭력범죄피해의 공포는 “지배적인 범죄로써(master offense)” 다른 범죄에 대한 공포, 특히 여성으로서 겪을 수 있는 다양한 범죄피해를 연상시키는 “그림자(shadow)”와 같은 역할을 하고 있으며, 따라서 “성폭력의 그림자 명제(the shadow of sexual assault thesis)” 이 한국의 여성에게도 적용이 가능하다고 결론을 내렸다. 또한 본 연구는 여성의 성폭력범죄피해의 공포가 다른 범죄의 공포와 어떠한 관련이 있는가, 그리고 여성의 범죄의 공포를 감소하여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 여성들이 가지고 있는 성폭력범죄피해의 공포를 완화시키는 데 여러 가지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연구결론을 내릴 수 있는 객관적 자료를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Ferraro's (1995;1996) “the shadow of sexual assault thesis” proposing higher level of women's fear of sexual assaults heightens their fear of victimizations to other crimes for women in Seoul. Also, this study utilized various correlates of fear of crime examined in the previous studies.
Using self-reported data from a sample of 348 women in Seoul, this study utilize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on four different types of fear of crime, such as violent assaults, robbery on the streets, burglary, pick-pocke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fear of sexual assaults substantially influenced these four types of fear of crimes, violent assaults, robbery on the streets, burglary, pick-pocket as predicted by the thesis.
These findings give substantial support to the shadow thesis: the fear of sexual assaults may operates as “a master offense” predicting their fear of other crimes. Also,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shadow of sexual assault thesis is appliable for the women in Korea.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develop gender-specific public policy to reduce the fear of crime among wome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론
Ⅳ. 결과
V.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럽 지방자치단체의 재난관리 시스템 : 영국과 독일 사례의 특징과 시사점
- 수사 경찰의 인권보호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스마트폰뱅킹 서비스의 무권한 부정사용
- 지역경찰에서 협력단체의 새로운 유형화에 따른 활성화 방안
- 범죄 발생에 대한 계절요인 분석
- 경찰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관한 연구
- 성범죄에 대한 양형기준의 국제비교 : 한국, 미국, 영국의 양형기준에 나타난 형량의 비교
- 미국 교정공무원 교육훈련에 대한 고찰
- 경찰조직의 계층구조와 조직특성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경북경찰청의 소속부서 및 채용형태를 중심으로
- 범죄피해에 대한 공포의 원인과 여성 : 성폭력범죄의 두려움과 여성의 범죄에 대한 공포는 관련이 있는가?
- 한국 민간경비업의 준공영제도입을 위한 연구
- 국방개혁안의 논의와 발전방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국가위기관리학회보 제14권 제2호 목차
- 기후 위기 대응 및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거버넌스 비교 - 계층적 거버넌스에서 협력적 거버넌스로
- 협력적 비상 관리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협업 행정과 리더십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