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for Characteristics of Cyber Attacks on Democracies
- 발행기관
- 한국전략문제연구소
- 저자명
- 황원준(Wonjune Hwang)
- 간행물 정보
- 『전략연구』제32권 제2호(통권 제96호), 105~136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사이버 공격이 증가하고, 국제사회의 진영화가 공고해지면서 사이버 영역에서 민주주의 국가 간 협력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사이버 영역에서 민주주의 국가는 공통적으로 비대칭적 취약성을 지님에 따라 이들 간의 협력은 매우 중요하다. 이 연구는 민주주의 국가 간 사이버 협력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하여 “사이버 사건 데이터”를 활용해 민주주의 국가에 대한 사이버 공격의 특징과 경향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다수의 사이버 공격이 민주주의 국가에 집중되며, 약탈적 공격과 범죄자에 의한 공격이 이들에 대한 주된 공격 형태로 나타났다. 또, 이러한 공격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계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기술-민주주의 차원의 협력체로 논의되는 D10 역시, 약탈적 공격과 범죄자에 의한 공격이 다수를 차지하지만, 점진적으로 혼합공격이 증가하는 추세가 나타났다. 대한민국은 공격 유형 측면에서는 D10 내 인도-태평양 지역 국가들과 위협이 유사하며, 공격 행위자 측면에서는 D10의 인도, 일본, 독일과 유사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민주주의 국가 간 사이버 안보 협력의 필요성을 뒷받침하며, D10을 통한 협력 방향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As cyber attacks increase and geopolitical polarization intensifies, the importance of cooperation among democratic nations in the cyber domain is growing. Democratic nations share common asymmetric vulnerabilities in the cyber realm, making their cooperation crucial. To propose directions for cyber cooperation among democratic nations, this study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cyber attacks targeting democratic countries using “cyber incident data.” The analysis reveals that the majority of cyber attacks are concentrated on democratic nations, with predatory attacks and those by criminals being the most prevalent. Furthermore, these attacks are expected to continue increasing in the future. In the context of the D10, a group of democratic nations discussing technology-democracy cooperation, predatory attacks and criminal-led attacks are predominant, but there is a gradual increase in mixed-type attacks. Within the D10, South Korea faces similar threats in terms of attack types as the QUAD nations, while the nature of attackers aligns more closely with non-Anglo-Saxon count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e need for cyber security cooperation among democratic nations and suggest directions for future D10 cooperation.
목차
Ⅰ. 서 론
Ⅱ. 민주주의 국가의 사이버 안보와 협력
Ⅲ. 연구 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북·러 동맹관계에 관한 연구: 전략문화 관점에서
- 민주주의 국가에 대한 사이버 공격 특징 연구
- 전투발전 분야별 우선순위를 고려한 K-예비군 재설계 방향에 관한 연구: AHP 분석을 중심으로
- 전략연구 제32권 제2호(통권 제96호) 목차
- 방산수출 후속지원을 위한 총수명주기관리(TLCSM)체계 발전 연구:미국의 체계지원관리자 (PSM) 제도 발전사를 중심으로
- 오물풍선 사건을 계기로 본 북한 군사도발 양상의 전략적 진화와 한국의 대응 전략
- 김정은 시대 북한의 제도화 정치 전략: 헌법 개정 사례를 중심으로
- 2023년 6월 우크라이나 반격작전의 실패 원인과 한국군에 주는 함의
-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 “오각평화론”에 기반한 실효적 위협감소
- 현상타파 국가의 기정사실화 전략: 일본 제국 사례 분석과 한국 군사전략에의 함의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