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search about north-korea's strategic curture and restoration of the North-Russia alliance
- 발행기관
- 한국전략문제연구소
- 저자명
- 이재식(Jaesik Lee) 김용현(Yonghyun Kim)
- 간행물 정보
- 『전략연구』제32권 제2호(통권 제96호), 7~41쪽, 전체 3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7,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북한과 러시아는 왜 북·러 신조약을 체결하고 군사동맹 관계를 복원하였을까? 이 논문은 신현실주의나 신자유주의 등 전통적·물리적 국가이익에 초점을 맞춘 국제정치학의 관점이 아니라 전략문화적 관점에서 북·러 동맹관계 복원을 연구하였다. 특히 북한의 지리적·지정학적 조건과 북한체제가 성립되던 초기의 역사적 경험을 통해 형성된 ‘태생적 전략문화’의 관점에서 연구하였다.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북한이 ‘적대적 두 국가론’ 표방을 통해 자신들의 정통성을 강조하고 정체성을 강화하려는 의도와 북·러 동맹관계 복원이 서로 연계되어 있으며 ‘적대적 두 국가론’을 통해 대남 적대관계를 유지하더라도 체제 생존에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다. 둘째, 북·러 간 위협인식 일치화의 산물로서 북·러 동맹관계가 복원되고 이를 바탕으로 북한이 다극주의 국제질서 재편에 적극 참여하며 러시아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셋째, 러시아가 북·러 동맹관계 복원을 통해 북한의 지정학적 가치를 재인식하고, 북한의 체제 안정성을 확보하는데 필요한 심적·물적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북·러 동맹관계 복원을 통해 북한은 재래식 전력의 현대화, 첨단 군사기술 이전, 한국군에 비해 열세인 전력의 증강 등 지속적인 국방력 강화를 추구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러시아 및 중국이라는 든든한 후원국이 버티고 있다는 자신감에서 언제라도 전략·전술적 군사도발을 감행할 수 있다.
2025년은 북한의 ‘국방력 발전 5개년 계획’의 마지막해이다. 2024년부터 북·러 동맹관계복원을 추동력 삼아 그 계획을 현실화하기 위한 적극적인 국방력 발전 독려가 예상된다. 2025년 우크라이나 전쟁의 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북한과 러시아 간의 군사협력, 북한의 국방력 강화 동향을 추적하여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을 전망하고 대비방향을 선제적으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Why did North Korea and Russia sign the North Korea-Russia New Treaty and restore their military alliance? This paper examines the restoration of the North Korea-Russia alliance from a strategic cultural perspective, rather than a conventional international political viewpoint. Especially, the study approaches the issue through the geographical and geopolitical conditions of North Korea and the lens of North Korea’s 'inherited strategic culture,' formed through the early historical experiences of the North Korean system.
The study reveals several key findings: First, North Korea’s emphasis on the “doctrine of two hostile countries” is linked to its intention to reinforce its legitimacy and identity. This doctrine, while maintaining hostile relations with the South, has given North Korea the confidence to ensure its regime survival. Second, the restoration of the North-Russia alliance is a result of a shared perception of threat between the two countries. Based on this, North Korea actively participates in the restructuring of a multipolar international order, supporting Russia in the process. Third, through the restoration of the North-Russia alliance, Russia has reassessed North Korea’s geopolitical value and is providing essential psychological and material support to ensure the stability of North Korea’s regime. Finally, the restoration of the North-Russia alliance reflects trends toward continued strengthening of national defense, such as modernization of conventional forces, transfer of advanced military technologies, and augmentation of forces to compensate for North Korea’s inferior military strength compared to South Korea. Moreover, the confidence derived from strong backing from Russia and China may lead to reckless strategic and tactical military provocations.
2025 marks the final year of North Korea’s “Five-Year National Defense Development Plan.” From 2024, the restoration of the North-Russia alliance is expected to serve as a driving force for the realization of this plan, with active encouragement for defense development. Given the situation of the war in Ukraine in 2025, it is necessary to closely monitor military cooperation between North Korea and Russia, along with the trends in North Korea’s military strength, to assess their impact on South Korea and establish proactive preparedness strategies.
목차
Ⅰ. 서 론
Ⅱ. 북한의 전략문화
Ⅲ. 북·러 동맹관계 복원
Ⅳ. 전략문화 관점에서 본 북·러 동맹관계 복원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북·러 동맹관계에 관한 연구: 전략문화 관점에서
- 민주주의 국가에 대한 사이버 공격 특징 연구
- 전투발전 분야별 우선순위를 고려한 K-예비군 재설계 방향에 관한 연구: AHP 분석을 중심으로
- 전략연구 제32권 제2호(통권 제96호) 목차
- 방산수출 후속지원을 위한 총수명주기관리(TLCSM)체계 발전 연구:미국의 체계지원관리자 (PSM) 제도 발전사를 중심으로
- 오물풍선 사건을 계기로 본 북한 군사도발 양상의 전략적 진화와 한국의 대응 전략
- 김정은 시대 북한의 제도화 정치 전략: 헌법 개정 사례를 중심으로
- 2023년 6월 우크라이나 반격작전의 실패 원인과 한국군에 주는 함의
-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 “오각평화론”에 기반한 실효적 위협감소
- 현상타파 국가의 기정사실화 전략: 일본 제국 사례 분석과 한국 군사전략에의 함의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