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Politics of Institutionalization under Kim Jong Un: A Case Study of Constitutional Amendments in North Korea
- 발행기관
- 한국전략문제연구소
- 저자명
- 김지일(Jiil Kim)
- 간행물 정보
- 『전략연구』제32권 제2호(통권 제96호), 77~10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김정은 정권이 반복적으로 헌법을 개정하는 이유를 분석하고, 이를 정권 안정과 정통성 강화를 위한 전략적 제도화 과정으로 해석하고자 한다. 기존 연구가 개별 개정의 내용에 주목한 데 비해, 본 연구는 6차례에 걸친 헌법 개정의 반복성과 누적성에 주목하며, 이를 통해 북한정권이 통치 권력을 제도적으로 구조화해 왔음을 밝힌다. 이를 위해 Kathleen Thelen의 점진적 제도 변화론, James G. March와 Johan P. Olsen의 신제도주의론, Steven Levitsky와 Lucan A. Way의 경쟁적 권위주의론을 분석틀로 삼아, 헌법 개정이 정치 전략과 정당성 확보, 권력 집중의 수단으로 작동한 과정을 해석했다. 연구 결과, 북한의 헌법 개정은 단절된 조치가 아니라 장기 전략에 따라 반복적으로 수행된 제도적 진화이며, 이는 권위주의 체제에서도 헌법이 실질적인 통치 도구로 작동함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헌법 개정을 전략적 제도화의 관점에서 통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북한 정치의 제도 작동 방식에 대한 이론적·정책적 이해를 심화시킨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reasons behind the Kim Jong Un regime’s repeated constitutional amendments and interprets these changes as part of a strategic institutionalization process aimed at ensuring regime stability and consolidating political legitimacy. Unlike previous research that has focused primarily on the content of individual amendments, this study emphasizes the repetition and accumulation of six constitutional revisions, demonstrating how the North Korean regime has progressively structured its governing authority through institutional means. To achieve this, the study adopts an analytical framework combining Thelen’s theory of gradual institutional change, March and Olsen’s new institutionalism, and Levitsky and Way’s theory of competitive authoritarianism to examine how constitutional amendments have served as instruments for political strategy, legitimacy reinforcement, and the concentration of power. The findings reveal that North Korea’s constitutional amendments are not isolated events but represent an ongoing, long-term process of institutional evolution driven by strategic objectives. By providing an integrated analysis of constitutional amendments from the perspective of strategic institutionalization, this study deepens theoretical and policy-level understanding of how institutions operate within North Korean politics.
목차
Ⅰ. 서 론
Ⅱ. 전략적 제도화 이론과 선행연구 검토
Ⅲ. 김정은 집권 시기 6차례 헌법 개정
Ⅳ. 헌법 개정 분석에 따른 제도화 정치 전략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북·러 동맹관계에 관한 연구: 전략문화 관점에서
- 민주주의 국가에 대한 사이버 공격 특징 연구
- 전투발전 분야별 우선순위를 고려한 K-예비군 재설계 방향에 관한 연구: AHP 분석을 중심으로
- 전략연구 제32권 제2호(통권 제96호) 목차
- 방산수출 후속지원을 위한 총수명주기관리(TLCSM)체계 발전 연구:미국의 체계지원관리자 (PSM) 제도 발전사를 중심으로
- 오물풍선 사건을 계기로 본 북한 군사도발 양상의 전략적 진화와 한국의 대응 전략
- 김정은 시대 북한의 제도화 정치 전략: 헌법 개정 사례를 중심으로
- 2023년 6월 우크라이나 반격작전의 실패 원인과 한국군에 주는 함의
- 북핵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 “오각평화론”에 기반한 실효적 위협감소
- 현상타파 국가의 기정사실화 전략: 일본 제국 사례 분석과 한국 군사전략에의 함의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