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불편함의 교육학(Pedagogy of Discomfort)과 트랜스내셔널 기억의 공유 - 한국인 여성 교육자가 본 보수 지역 미국 교사의 어려운 역사(Difficult History) 수업
이용수 5
- 영문명
- The ‘Pedagogy of Discomfort’ and the Transnational Memory:A Korean Female Educator’s Reflections on Teaching Difficult History in a Politically Conservative Area in the U.S.
- 발행기관
- 한국역사교육학회
- 저자명
- 차보은(Bo Eun Cha)
- 간행물 정보
- 『역사교육연구』제52호, 7~63쪽, 전체 5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9,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기억의 체제’의 최전선에 있으면서, 실시간으로 상황을 헤쳐나가야 하는 교사들의 감정적, 서사적 그리고 교육적 경험의 구체적인 정향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해 정치적으로 보수적인 미국 사우스다코타주의 교사들이 어려운 역사를 어떻게 인식하고 가르치는지를 탐구하였다. 특히, 한국인 여성 교육자라는 위치성을 바탕으로 미국 교사들의 교육적 실천과 경험을 내러티브 탐구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불편함의 교육학(Pedagogy of Discomfort)’과 ‘정동적 인프라(Affective Infrastructure)’를 주요 이론적 틀로, 기억과 감정이 어떻게 교육적 맥락에서 정치화되고 구조화되는지 논의하였다. 두 개념 모두 페미니즘 감정 이론에서 출발하여, 감정이 단순히 개인적 반응이 아니라 교육 담론 내에서 정치적, 사회적으로 규제되는 힘으로 기능하는 방식을 보여줄 수 있다.
참여자들은 대체로 원주민의 역사, 홀로코스트 등의 역사를 어렵고 불편한 역사로 지각하였으며, 불편함이 학습의 장애물이 아니라 학습의 토대라는 인식을 공유하고 있었다. 어려운 역사를 교육하는 것은 어렵고, 고통스러울 수 있지만, 과거를 이해하기 위해서뿐만 아니라 기억을 미래로 전달하고, 행동하는 시민 양성을 위해서도 필수적이다. 교사는 어려운 역사를 교육할 때 생성될 수 있는 다양한 ‘불편함’을 큐레이팅하기 하기 위하여 내용, 학습 공간을 구조화하고, 정치화된 사회와 긴밀히 협력하거나 헤쳐나가는 역할을 하고 있었다. ‘정동적 인프라’와 연결된 불편함을 느끼고, 처리하고 변형할 수 있는 관계적, 제도적, 교육적 공간을 구축하는 것이다. 또한, 학생들을 역사의 감정적 영역에서 보호하거나, 불편한 감정들과 역사적 지식을 분리하기보다, 감정이 윤리적인 힘의 일부임을 인식하고 끊임없이 학생들을 어렵고, 불편한 역사로 초대하고 있었다. 하지만 개인의 신념과는 별개로 보수적이고 양극화된 공동체에서 감시, 검열, 이념적 압력과 얽혀서 또 다른 종류의 불편함과 어려움을 마주하고 있었다. ‘어려운 역사를 불편하게’ 교육하는 그들의 행위는 신중하게 협상된 저항의 행위일 것이다.
한편, 연구자의 독특한 위치성은 식민지배 국가의 선택적 기억의 문제, 지역에 기반한 기억 논쟁, 1차 사료에 대한 구성적 본질 등과 같은 지점들을 고민하게 한다. 나아가 연구자는 인터뷰라는 대화적 실천을 통해 미국 교사들과 기억을 공유하고, 그 과정 속에서 트랜스내셔널 기억 연대의 가능성을 제안한다. 한국과 미국이라는 다른 사회적 맥락이지만 교육자들이 감정과 기억을 매개로 연대하고, 공통의 역사교육 방향성을 모색할 가능성이 열려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begins with the recognition of the need to explore the specific emotional, narrative, and educational orientations of teachers who stand at the forefront of the ‘regime of memory’ and must navigate its challenges in real time. To this end, it investigates how teachers in the politically conservative state of South Dakota perceive and teach difficult history. Drawing on the researcher’s unique transnational positionality—as a Korean, a former public school teacher, and a woman educator—this study analyzes American teachers’ educational practices and experiences through a narrative inquiry approach.
Using the ‘pedagogy of discomfort’ and ‘affective infrastructure’ as its primary theoretical frameworks, the study examines how memory and emotion are politicized and structured within educational contexts. Both concepts are rooted in feminist emotion theory and reveal how emotions function not merely as personal reactions but as politically and socially regulated forces within educational discourse.
Participants generally perceived the histories of Indigenous peoples and the Holocaust as “difficult” and “uncomfortable.” However, they shared the view that discomfort is not a barrier to learning but a foundation for it. Teaching difficult history can be challenging and painful, but it is essential not only for understanding the past but also for transmitting memory into the future and cultivating active, responsible citizens. Teachers curated various forms of discomfort by structuring content and learning spaces and played a pivotal role in either navigating or collaborating with politically charged societies. In doing so, they sought to build relational, institutional, and educational spaces in which discomfort—linked to affective infrastructures—could be felt, processed, and transformed.
Rather than shielding students from the emotional dimensions of history or separating uncomfortable emotions from historical knowledge, these teachers recognized that emotions are part of ethical power. They continuously invited students to engage with difficult and uncomfortable histories. Nonetheless, regardless of their personal beliefs, they encountered another layer of discomfort and difficulty within conservative and polarized communities—entangled with surveillance, censorship, and ideological pressure. Their act of teaching difficult history “in uncomfortable ways” can be understood as a carefully negotiated act of resistance.
At the same time, grounded in the researcher’s unique positionality, this study raises critical questions about selective memory in formerly colonized nations, regionally situated memory disputes, and the constructed nature of primary sources. Furthermore, through the dialogic practice of interviews, the researcher engaged in memory-sharing with American teachers and proposed the possibility of “transnational memory solidarity.” The findings suggest that despite differing sociopolitical contexts, history educator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can form solidarity through educational practices mediated by emotion and memory, opening up possibilities for envisioning a shared educational future.
목차
Ⅰ. 불안정한 징후, 경쟁적인 기억
Ⅱ. 의미의 사슬: 어려운 역사, 기억 그리고 감정
Ⅲ. 횡단적 의미 읽기를 위한 방법과 과정
Ⅳ. 미국 교사들의 ‘어려운 역사’ 교육 이야기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불편함의 교육학(Pedagogy of Discomfort)과 트랜스내셔널 기억의 공유 - 한국인 여성 교육자가 본 보수 지역 미국 교사의 어려운 역사(Difficult History) 수업
- 수업 실천을 통한 교육과정과 역사교실 간의 간극 메우기 - 2022 개정 ‘한국사’의 전근대 성취 기준을 중심으로
- 보수 성향 학생 단체의 제주 4·3 인식 - 역사적 증거 개념을 중심으로
- 2022 개정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북한사 및 남북관계사 서술의 특징 - 북한사 비판주의, 남북관계의 남한 주도성, 통일운동사·통일논의의 부재를 중심으로
- [서평] ‘어려운 역사’를 통해 본 역사교육의 과제 - Teaching and Learning Difficult Histories in International Contexts: A Critical Sociocultural Approach(Routledge, 2018)
- 역사교육연구 제52호 목차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