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Right-Wing Group’s Historical Consciousness in Jeju 4.3 : Focusing on Historical Evidence Concepts
- 발행기관
- 한국역사교육학회
- 저자명
- 정의진(Ui jin Jeong)
- 간행물 정보
- 『역사교육연구』제52호, 65~136쪽, 전체 72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11,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습자의 정체성과 역사적 증거 개념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2019년에 형성된 보수 성향 학생 단체 구성원 10명이다. 연구 참여자들에게 제주 4.3 관련 자료 10개를 제공하고, 각각의 자료의 신뢰도는 어느 정도인지 순위를 매기고,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 그리고 누가 제주 4.3을 일으켰다고 생각하는지를 질문하였다. 10개 자료 중 현대사 연구자가 기고한 잡지 기사만이 제주 4.3은 한반도를 공산화하려는 소련과 북의 지시로 일어난 것이라고 설명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참여자들의 해석은 크게 남로당 제주도당을 지지하는 그룹과 남로당 중앙당 또는 북 지시설을 지지하는 2개로 나누어졌으며 자료의 신뢰도 판단에서 나타난 양상도 달랐다. 전자에 비해 후자는, 자료를 읽을 때 사전 지식과 자신의 정체성에 기반한 내러티브, 즉 적어도 1945년 이후 소련이 한반도를 공산화하려고 했다는 내러티브를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또한 그들은 그러한 내러티브에 맞지 않는 자료는 거짓이거나 왜곡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새로운 문제를 제기할 때도 두 그룹은 명확한 차이를 보였는데, 자료의 대조확인에서 극명한 차이가 나타났다. 전자는 추가 가설을 세울 때도 자료에서 확인할 수 없는 내용에 대해서 신중하게 해석하였으며 쉽사리 결론을 내리지 않았다. 학습자의 정체성에 기반을 둔 강력한 내러티브는 학습자의 역사적 증거 개념과 동시에 역사 인식에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2차 개념에 대한 이해에서 더 나은 수준을 가진 일부 구성원들은 상대적으로 내러티브 간섭과 방해를 덜 받았음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s between identity and historical evidence concepts. I focused on a right-wing student group, which began in 2019, in which all of the group members identified themselves as right-wing or conservative.
I provided 10 materials related to Jeju 4.3, providing them some questions, including how reliable they thought the material was, why they thought that, and who started Jeju 4.3. Korean academia officially explains Jeju 4.3. was caused by the Jeju Committee of South Korea Labor Party(남로당 제주도당) rather than under the direction of the North or the Central Committee of South Korea Labor Party(남로당 중앙당) is more persuasive. Among 10 materials, only the last 10th magazine article written by a researcher suggests Jeju 4.3 was prompted by the direction of the North, even with the help of the Soviet Unio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is study suggests the research participants a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The Group A members(5 people, who support the Jeju Committee of South Korea Labor Party(남로당 제주도당) and Group B members(5 people, who support the direction of the North or the Central Committee of South Korea Labor Party(남로당 중앙당). When they read the materials, they actively applied prior knowledge and their narrative, in other words, the Soviet Union’s attempt to communize the Korean Peninsula since at least 1945. They explained any material that did not fit that narrative as false or distorted. Even when it came to solving a new question, the two groups showed a clear difference: whether they corroborated or not materials. The powerful narratives rooted in the identity of learner impacted their historical evidence concepts, simultaneously on their historical consciousness. However, some members with a better understanding of second-order concepts were less disrupted by their narrativ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및 분석
Ⅴ. 제언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불편함의 교육학(Pedagogy of Discomfort)과 트랜스내셔널 기억의 공유 - 한국인 여성 교육자가 본 보수 지역 미국 교사의 어려운 역사(Difficult History) 수업
- 수업 실천을 통한 교육과정과 역사교실 간의 간극 메우기 - 2022 개정 ‘한국사’의 전근대 성취 기준을 중심으로
- 보수 성향 학생 단체의 제주 4·3 인식 - 역사적 증거 개념을 중심으로
- 2022 개정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북한사 및 남북관계사 서술의 특징 - 북한사 비판주의, 남북관계의 남한 주도성, 통일운동사·통일논의의 부재를 중심으로
- [서평] ‘어려운 역사’를 통해 본 역사교육의 과제 - Teaching and Learning Difficult Histories in International Contexts: A Critical Sociocultural Approach(Routledge, 2018)
- 역사교육연구 제52호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