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유교의 근대적 곤경 - 20세기 초 한국 잡지의 담론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The Modern Predicament of Korean Confucianism: Focusing on Early 20th-Century Korean Magazine Discourses
발행기관
한국동양철학회
저자명
梁一模(Ilmo Yang)
간행물 정보
『동양철학』第63輯, 123~157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글은 20세기 초에 간행된 한국 잡지를 중심으로 한국의 유교가 직면한 근대적 곤경을 둘러싼 지식인들의 담론을 분석하고자 한다. 먼저 근대적 교육 체제의 등장과 맞물려 한국의 유교가 근대적 분과 학문으로 등장한 역사학의 연구 대상이 되고, 동시에 철학 혹은 동양철학으로 재편되는 과정을 검토해보고자 한다. 둘째, 새로운 근대국가를 구상하면서 유교는 비판의 대상이 되었고 한편으로는 전통적 문화 자원으로 작동하였다. 따라서 이 시기에 유교를 둘러싼 비판과 기대가 교착되는 과정을 다루고자 한다. 셋째, 메이지 일본의 학계에서 퇴계 이황을 둘러싼 담론이 활성화되고, 그리고 이러한 메이지 학계의 아카데미즘이 한국에 전해지는 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한국 유교가 직면한 근대적 운명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modern predicament faced by Korean Confucianism by analyzing discourses found in Korean magazines published in the early 20th century. First, it explores how Confucianism, under the emergence of a modern educational system, became a subject of historical inquiry as a disciplinary object and was simultaneously restructured as “philosophy,” particularly under the name of Eastern philosophy. Second, it investigates the ambivalent role of Confucianism in the process of imagining a modern nation-state?being both a target of criticism and a repository of traditional cultural resources. Third, it analyzes how academic discourses surrounding the Neo-Confucian thinker Yi Hwang (Toegye) were developed in Meiji-era Japan and subsequently transmitted to Korea, revealing the influence of Japanese academism on Korean intellectuals. Through this multi-layered analysis, the study aims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ical and intellectual challenges that Korean Confucianism encountered in its confrontation with modernity.

목차

Ⅰ. 머리말
Ⅱ. 유교의 근대적 전환: 유교사와 유교철학
Ⅲ. 비판과 희망의 이중주
Ⅳ. 메이지 일본 학계의 충격과 한국 잡지의 퇴계 담론
Ⅴ. 맺는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梁一模(Ilmo Yang). (2025).한국 유교의 근대적 곤경 - 20세기 초 한국 잡지의 담론을 중심으로. 동양철학, (), 123-157

MLA

梁一模(Ilmo Yang). "한국 유교의 근대적 곤경 - 20세기 초 한국 잡지의 담론을 중심으로." 동양철학, (2025): 123-15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