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nfluence of the Concept of ‘Silence’ (寂) in Yangmingism on Residential Aesthetics in the Mid-to-Late Ming Dynasty
- 발행기관
- 한국동양철학회
- 저자명
- 張蕾(LEI ZHANG)
- 간행물 정보
- 『동양철학』第63輯, 79~122쪽, 전체 4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8,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명대 양명학의 ‘적(寂)’ 개념에 주목하여, 철학과 미학의 시각에서 문인 주거 미학에 나타난 이 개념의 이론적 기반과 실천적 영향을 체계적으로 고찰한다. ‘적’을 미학적 본체로 삼아 사대부의 심성 수양과 공간 인식에 미치는 다층적 역할을 분석하며, 특히 ‘적-감(寂-感)’ 시스템 구조가 명대 원림 및 생활 공간 조성에 제공한 이론적 토대를 밝힌다. 또한 ‘허정(虛靜)’, ‘무집(無執)’, ‘감통(感通)’, ‘공명(空明)’ 등 핵심 범주가 공간 배치, 경관 설계, 주체적 경험에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논의하고, 소주 졸정원 등 실제 사례를 통해 ‘적’과 ‘감’의 상호작용 하에 실현된 미학적 실천을 고찰한다. 나아가 “인간은 어떻게 ‘적’과 ‘감’을 통해 공간을 정신적 안식처이자 미학적 대상으로 전환하는가?”라는 질문을 따라 ‘적-감-공간’의 삼중 구조 모델을 제시함으로써 공간 미학의 생성 원리를 심화한다. 본 연구는 ‘적’이 철학적 사유와 심미적 체험의 중추일 뿐만 아니라, 명·청 문인들의 이상적 삶과 정신적 안식처 구축에 근본적 패러다임을 제공했음을 강조한다. 철학, 미학, 공간의 통합적 관점에서 중국 및 동아시아 미학의 독자성과 현대적 의의를 조명할 새로운 해석의 틀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cept of “stillness”Ji(寂) in Ming dynasty Yangming philosophy(陽明心學), systematically examining its theoretical foundations and practical influences on the residential aesthetics of literati from both philosophical and aesthetic perspectives. By positioning “Ji” as an aesthetic ontological principle, the research analyzes its multifaceted roles in the cultivation of personal character and spatial perception among scholar-officials, and particularly elucidates how the “stillness-resonance” Ji-Gan(寂-感) system provides a theoretical basis for the creation of gardens and living spaces during the Ming period. Furthermore, this paper discusses how key concepts such as “xu-jing(虛靜, emptiness and tranquility),” “wuzhi(無執, non-attachment),” “gantong(感通, sympathetic resonance),” and “gongming(空明, luminous clarity)” are applied in spatial layout, landscape design, and subjective experience, illustrated through case studies such as the Humble Administrator’s Garden in Suzhou. Moreover, by following the fundamental question-“How do people transform space into a spiritual home and aesthetic object through stillness and resonance?”-this study proposes a triple structure model of “Ji-Gan-Space”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the generative mechanisms of spatial aesthetics. The research argues that “Ji” serves not only as a core for philosophical reflection and aesthetic experience, but also as a fundamental paradigm for literati in the Ming and Qing dynasties to construct their ideal life and spiritual sanctuary. By integrating philosophical, aesthetic, and spatial dimensions, this paper aims to provide a new interpretative framework for the uniqueness and contemporary significance of Chinese and East Asian aesthetics.
목차
Ⅰ. 머리말
Ⅱ.양명심학에서 ‘寂’의 존재론적 재조명
Ⅲ. 명대 주거 미학에서 ‘적’ 개념의 구체적 구현
Ⅳ. ‘寂’ 미학의 정신적 의미와 실천적 수양 지향성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철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철학분야 NEW
- 하타요가 (Haṭhayoga)의 ‘나디 정화법’ (nāḍiśodhana) 연구
- 마음챙김 요가의 신경과학적 메커니즘 - 구조·기능·생리적 변화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 『바시쉬타상히따』(Vasiṣṭhasaṃhitā) 37) 「요가편」(Yogakaṇḍa) 연구 - 제V장의 번역과 역주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