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질병 어휘의 은유 양상 연구 : 비의료 분야에 적용된 양상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Metaphorical Aspects of Disease Vocabulary : Focusing on Applications in Non-Medical Fields
발행기관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저자명
장미(Mi Zhang) 김양진(Ryang-Jin Kim)
간행물 정보
『스토리콘텐츠』7집, 131~15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는 질병명 어휘가 비의료적 영역에서 은유적으로 사용되는 양상을 체계적으로 유형화하고, 각 유형별 담론적 특성과 인식적 기능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질병 은유는 질병 개념이 비의학적 개념을 통해 이해되거나, 비의료적 현상이 질병개념을 통해 설명되는 양방향적 특성을 지닌다. 본고는 이 가운데 후자의 측면, 즉 질병명 어휘가 사회·정치·문화 등 비의료적 개념을 설명하는 방식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는 질병 은유가 단순한 수사적 표현을 넘어 사회적 인식과 평가, 현실 문제에 대한 해석을 가능하게 하는 인지적 장치로 기능하기 때문이다. 본고는 기존 연구와 달리 질병명 어휘의 은유적 사용 양상을 포괄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표준국어대사전』에 등재되어 있는 비유적 질병 어휘와 실제 언어생활에서 자주 은유적으로 쓰이는 어휘를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뉴스 기사에서 용례를 조사한 뒤 KCD 체계에 따라 유형화하여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확인된 질병명 어휘들은 감염성 질환, 정신 및 행동 장애, 내분비·영양 및 대사 질환, 순환계통 질환, 근골격계통 및 결합조직 질환, 피부 질환, 기타 질환 등 총 7개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질병군에 속한 은유 어휘는 병리적 특성과 인지적 이미지를 바탕으로 비의료 담론 내에서 서로 다른 의미 층위와 기능을 드러낸다고 확인하였다. 이에 질병 은유가 단순한 언어적 표현을 넘어 사회적 의미 형성과 인식 구조에 깊이 관여하는 인지적 도식으로 작용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categorize the metaphorical uses of disease-naming vocabulary in non-medical contexts and to examine the discursive characteristics and cognitive functions of each category. Disease metaphors exhibit a bidirectional structure in which medical concepts are used to understand non-medical phenomena, or vice versa. Focusing on the latter, this study analyzes how disease-related terms are metaphorically employed to describe various socio-political and cultural phenomena. This approach is grounded in the idea that disease metaphors function not merely as rhetorical devices but as cognitive tools that shape social perception, evaluation, and interpretation of reality. Unlike previous studies that focused on specific high-impact diseas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a broader range of metaphorical uses of disease vocabulary. To this end, metaphorical expressions listed in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and commonly used in everyday language were collected. Then, actual examples from news articles were analyzed and categorized according to the Korean Standard Classification of Diseases (KCD). As a result, the collected metaphorical disease terms were classified into seven categories: infectious diseases, mental and behavioral disorders, endocrine, nutritional and metabolic diseases, circulatory system diseases, musculoskeletal and connective tissue diseases, skin diseases, and others. The metaphorical terms within each disease category revealed distinct layers of meaning and function in non-medical discourse, shaped by the pat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cognitive imagery associated with the original diseases. This suggests that disease metaphors operate as cognitive schemata deeply involved in the construction of social meaning and percep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대상 및 방법
Ⅲ. 질병명 어휘의 비의료 분야 은유 사용 유형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미(Mi Zhang),김양진(Ryang-Jin Kim). (2025).질병 어휘의 은유 양상 연구 : 비의료 분야에 적용된 양상을 중심으로. 스토리콘텐츠, (), 131-158

MLA

장미(Mi Zhang),김양진(Ryang-Jin Kim). "질병 어휘의 은유 양상 연구 : 비의료 분야에 적용된 양상을 중심으로." 스토리콘텐츠, (2025): 131-1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