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웹툰 <바리공주>가 재해석한 설화 <선녀와 나무꾼>

이용수  0

영문명
The Folktale ‘The Fairy and the Woodcutter’ Reinterpreted in the Webtoon
발행기관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저자명
조리라(Lee-Ra Jo)
간행물 정보
『스토리콘텐츠』7집, 49~62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7.31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인터넷 포털 ‘다음’에서 연재되고 있는 김나임 작가의 웹툰 <바리공주>의 에피소드 ‘선녀와 나무꾼’이 설화 <선녀와 나무꾼>을 재해석한 방식에 관해 고찰해 보았다.설화 <선녀와 나무꾼>에는 약한 사슴을 도와준 착한 나무꾼이 사슴의 도움으로 선녀와 결혼하여 아이를 낳고 살게 되는 것으로, 착한 나무꾼, 하늘에서 내려온 선녀, 약자인 사슴이 등장한다. 웹툰 <바리공주>에서는 이러한 인물들의 특성을 다른 시각으로 바라보아, 나무꾼은 힘없는 동물을 도와주는 착한 심성의 소유자가 아니라 자신의 이기심을 사랑으로 포장한 절도범, 사슴은 선녀를 이용한 이기적인 동물, 그리고 선녀는 두 사람의 공모에 의한 피해자로 묘사하였다. 금기 위반으로 끝내 이어지지 못한 사랑 이야기의 주인공이 아닌, 원치 않는 혼인을 하게 된 뒤 불행을 이기지 못해 자살한 선녀와 그런 선녀에게 집착하는 나무꾼, 두 사람의 불행을 야기한 비열한 사슴으로 재탄생시킨 것이다. 그리고 웹툰 <선녀와 나무꾼>은 공간적 배경을 온전히 지상으로 설정하여 서사를 진행한다. 천상의 인물과 지상의 인물이 말을 하는 동물의 도움으로 결연을 맺는 것이 아니라, 이조참의의 막내딸과 나무꾼의 결연을 그리며 결연을 돕는 인물은 이조참의 막내딸의 하인으로 등장하는 것이다. 설정의 변화로 설화 <선녀와 나무꾼>이 지니던 환상성은 배제되고 현실성이 증가하였다. 본고에서 분석을 진행한 웹툰 <바리공주>의 에피소드 ‘선녀와 나무꾼’의 경우에도, 웹툰 향유자들의 댓글을 통해 웹툰 <바리공주>의 설화 재창작이 현대인들의 공감을 이끌어 내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고전문학 작품들의 소재와 인물, 서사와 서사적 의미 및 가치 등을 현대에서도 활약할 수 있도록 재창작하여 전통을 보존하면서도 콘텐츠 시장에도 활기를 불어넣게 된다면 고전문학은 재맥락화를 통하여 현대의 향유자들과 소통하며, 현대와 미래를 관통할 수 있는 작품으로 꾸준히 활약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how the episode ‘The Fairy and the Woodcutter’ in the webtoon , reinterprets the traditional Korean folktale ‘The Fairy and the Woodcutter’. In the folktale ‘The Fairy and the Woodcutter’, a kind woodcutter helps a weak deer and, in return, receives the deer's assistance in marrying a fairy from heaven, with whom he has children and lives. The story features three central figures: the benevolent woodcutter, the fairy, and the vulnerable deer. However, in the webtoon Princess Bari, these characters are reinterpreted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The woodcutter is no longer a compassionate man helping a helpless creature, but rather a thief who disguises his selfishness as love; the deer is portrayed as a self-serving animal who exploits the fairy; and the fairy is depicted as a victim of a conspiracy between the two. Rather than the protagonist of a love story cut short by a broken taboo, the fairy is reimagined as a woman forced into an unwanted marriage who ultimately takes her own life due to overwhelming despair. The woodcutter becomes an obsessive figure unable to let her go, and the deer is transformed into a cunning instigator responsible for their shared misfortune. Furthermore, the webtoon shifts the setting entirely to the human world, removing the fantastical elements of the original tale. The characters are restructured within a realistic Joseon-era context, with a government official's daughter and her servant replacing the celestial and animal figures. This change eliminates the mythic atmosphere and increases the story’s realism. Through such recontextualization of classical narratives, classical literature can be preserved and revitalized in ways that speak to modern audiences. This case illustrates how the reinterpretation of classical literature through webtoons can help bridge the gap between past and present, contributing to both the pre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 and the dynamism of today’s content market.

목차

Ⅰ. 서론
Ⅱ. 선녀의 태도에 주목한 웹툰 <바리공주>의 에피소드 ‘선녀와 나무꾼’
Ⅲ. 인물과 공간 설정의 변화로 현실적인 비극을 그린 웹툰 <바리공주>의 에피소드 ‘선녀와 나무꾼’
Ⅳ. 적극적 전승을 위한 고전 서사의 재맥락화
Ⅴ. 나오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조리라(Lee-Ra Jo). (2025).웹툰 <바리공주>가 재해석한 설화 <선녀와 나무꾼>. 스토리콘텐츠, (), 49-62

MLA

조리라(Lee-Ra Jo). "웹툰 <바리공주>가 재해석한 설화 <선녀와 나무꾼>." 스토리콘텐츠, (2025): 49-6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