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thics of Care Representation in the Drama “Nabillera” from the Perspective of Care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 저자명
- 신정아(Jung-Ah Shin)
- 간행물 정보
- 『스토리콘텐츠』7집, 85~10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7.31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드라마 <나빌레라>의 돌봄 재현 윤리를 분석하며, 돌봄이 어떻게 주변화 되고 사적 영역으로 축소되는지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돌봄윤리는 인간의 취약성과 상호의존성을 강조하며, 공감과 관계를 통해 기존 사회구조의 불평등을 개선하고 사회적 정의를 실현하려는 도덕 이론이다. 케리 웨어니스는 돌봄을 신체적 도움뿐 아니라 복지와 번영에 필요한 사회적 역량으로 보고, ‘대인 돌봄’, ‘정신적 돌봄’, ‘정치적 돌봄’의 세 가지 차원으로 설명한다. 드라마 <나빌레라>에서 덕출의 아내 해남의 돌봄은 초인적인 희생으로 묘사되며 그녀의 노동은 투명화되고, 스스로를 돌볼 여유조차 없다. 이는 돌봄이 여성의 몫으로 치부되며 사회적 보상이나 인정을 받지 못하는 현실을 반영한 결과다. 반면, 덕출과 채록의 관계는 서로의 필요를 채워주고 꿈을 응원하는 우정과 돌봄의 연대를 이룬다. 덕출과 채록이 만나는 발레교습소는 승주와 전처, 덕출의 둘째 아들 성관 등이 서로를 이해하고, 소통하는 테라폴리스로 작동한다. 그러나 등장인물들의 화해와 자아실현, 환대의 배경에는 해남의 희생과 노동이 전제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드라마 <나빌레라>의 돌봄 재현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돌봄의 책임을 개인이 떠안는 구조를 극복하고 사회가 함께 상호돌봄의 가치를 실현해야 함을 강조한다. 이를 위한 이론적 토대로서 조안 트론토와 도나 해러웨이, 버지니아 헬드의 돌봄윤리와 실천의 가치를 활용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ethics of caregiving representation in the drama “Nabilera” and critically examines how caregiving is marginalized and reduced to the private sphere. Care ethics is a moral theory that emphasizes human vulnerability and interdependence, seeking to improve existing social inequalities and realize social justice through empathy and relationships. Kerry Wearness views care not only as physical assistance but also as a social capacity necessary for welfare and prosperity, explaining it in three dimensions: “interpersonal care”, “spiritual care”, and “political care”. In the drama Nabillera, Deok-chul's wife Hae-nam's care is depicted as superhuman sacrifice, her labor is made invisible, and she does not even have the leisure to take care of herself. This reflects the reality that care is considered the responsibility of women and is not socially rewarded or recognized. On the other hand, the relationship between Deok-chul and Chae-rok is a bond of friendship and care that fulfills each other's needs and supports each other's dreams. The ballet studio where Deok-chul and Chae-rok meet functions as a place of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between Seung-joo, Deok-chul's ex-wife, and Deok-chul's second son, Sung-gwan. However, the reconciliation, self-realization, and hospitality of the characters are based on Hae-nam's sacrifice and labor. This study critically analyzes the representation of care in the drama Nabillera and emphasizes the need to overcome the structure in which the responsibility of care is borne by individuals and to realize the value of mutual care as a society. To this end, it draws on the theoretical foundations of Joan Tronto, Donna Haraway, and Virginia Held's ethics and practice of car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 대상 및 분석 틀
Ⅳ. <나빌레라>의 돌봄 재현 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