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불교에서 바라본 노인상 연구 - 유가와 비교를 통해

이용수  15

영문명
A Study on the Elderly from Buddhism : Focusing on the comparison with Confucianism
발행기관
건양대학교 웰다잉융합연구소
저자명
서원혁(Won-Hyuk Suh)
간행물 정보
『한국건강사회융합연구』제1권 제2호, 109~129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1.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노년의 인문학의 한 주제로써 불가에서 바라본 노인에 대한 인간모습을 연구코자 한다. 유교와의 비교를 통해 그 모습을 자세히 탐구하고 현 시대에 어떤 의미를 둘 수 있을지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불교에서 바라본 노인은 늙어감으로 표현될 수 있고 이는 죽음과 일맥상통한다. 이러한 관계 속에서 불교가 추구하는 인간상은 무엇일까에 대해 논의를 전개한다. 이는 유가의 학설을 통해 불교의 인간상을 보다 명확히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한나라 때 관학화 되어버린 유가는 불교와는 전혀 다른 노년 인간상을 제시하고 있다. 이 둘의 비교를 통해 현대에서 필요한 노년의 인간상에 대해 좀 더 의미 있는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research the human image of the elderly viewed from Buddhism as a subject of the humanities of old age. We compared it to Confucianism and explored it in detail. I would like to consider what meaning can be placed in modern time. In Buddhism, the old man is expressed by his old age. This is in line with death. In this relationship, we discuss what human image Buddhism pursues. Through Confucianism, it is intended to help clarify the human image of Buddhism. Confucianism, which became a government school, presents a completely different image of old-age human beings from Buddhism.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the two, I would like to conduct a more meaningful study on the human image of old age necessary in modern times.

목차

Ⅰ. 서론
Ⅱ. 불교에서의 노년
Ⅲ. 유교에서의 노년
Ⅳ.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원혁(Won-Hyuk Suh). (2022).불교에서 바라본 노인상 연구 - 유가와 비교를 통해. 한국건강사회융합연구, 1 (2), 109-129

MLA

서원혁(Won-Hyuk Suh). "불교에서 바라본 노인상 연구 - 유가와 비교를 통해." 한국건강사회융합연구, 1.2(2022): 109-1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