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一個 廣域市民에 있어서 코로나-19 感染 念慮가 社會的 거리두기에 미치는 影響

이용수  0

영문명
Impact of Concerns for COVID-19 Infection on Social Distancing among One Metropolitan Citizens in Korea
발행기관
건양대학교 웰다잉융합연구소
저자명
임나이(Na-Yi Lim) 김광환(Kwang-Hwan Kim) 배석환(Seok-Hwan Bae) 이무식(Moo-Sik Lee)
간행물 정보
『한국건강사회융합연구』제1권 제2호, 51~70쪽, 전체 20쪽
주제분류
의약학 > 의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2.11.30
5,2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인구사회학적 특성요인, 건강행태요인 그리고 코로나-19 감염 염려가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일개 광역시의 2020년 지역사회건강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한 단면연구로 만 19세 이상의 성인 4,57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연령이 많을수록, 주관적 건강수준이 높을수록, 코로나-19 감염 염려 정도가 클수록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정도가 높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다변수 로지스틱회귀분석에서는 여성이 남성에 비해 1.372배, 60세 이상이 다른 연령층에 비해 1.259배, 기혼이 미혼보다 1.364배, 비흡연자가 흡연자에 비해 1.432배, 아침식사를 규칙적으로 하는 사람이 불규칙적인 사람보다 1.249배, 코로나-19 감염 염려 정도가 큰 사람이 작은 사람에 비해 2.323배 사회적 거리두기 실천정도가 높았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연구결과 코로나-19의 감염에 대한 인지된 위험을 바람직한 건강증진 행위로 이끌 수 있도록 효과적인 위험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Background; It is important to prevent respiratory system infections such as COVID-19 from occurring by physical and social distanc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mpact of COVID-19 infection concerns regarding social distancing practices. Methods; This study was a cross-sectional study using raw data from One Metropolitan City's 2020 Community Health Survey. The SPSS 21.0 statistical software(IBM-SPSS Inc, Chicago, IL) was used to identify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behavior factors, and the effects of COVID-19 infection concerns on social distancing practices. Results; The practice of social distancing was 1.3 times higher in women than men, 1.2 times higher in married couples than the unmarried, and 1.4 times higher in non-smokers than smokers. If one is subjectively healthier, has greater COVID-19 awareness and concern, eats breakfast more regularly, the practice of social distancing increased(p<0.05). Conclusions; Studies have shown that gender, age, marital status, smoking status,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concerns about COVID-19 infection was factors that affect social distancing practices. Social distancing policies are very important in preventing infectious diseases. This study would be used as essential foundational data in preparing health policies to effectively prevent new infectious disease sprea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임나이(Na-Yi Lim),김광환(Kwang-Hwan Kim),배석환(Seok-Hwan Bae),이무식(Moo-Sik Lee). (2022).一個 廣域市民에 있어서 코로나-19 感染 念慮가 社會的 거리두기에 미치는 影響. 한국건강사회융합연구, 1 (2), 51-70

MLA

임나이(Na-Yi Lim),김광환(Kwang-Hwan Kim),배석환(Seok-Hwan Bae),이무식(Moo-Sik Lee). "一個 廣域市民에 있어서 코로나-19 感染 念慮가 社會的 거리두기에 미치는 影響." 한국건강사회융합연구, 1.2(2022): 51-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