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lationship Between Fatigue Symptoms and Job Satisfaction among Hairdressers Practicing in Beauty Salons
- 발행기관
- 건양대학교 웰다잉융합연구소
- 저자명
- 박승경(Sung-Kyong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건강사회융합연구』제1권 제2호, 1~1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용업소에 근무하고 있는 헤어 드레서의 피로자각증상과 직무만족도와의 관련성을 파악할 목적으로 시도하였다. 조사 대상은 한 지방 도시의 미용업소에 근무하고 있는 헤어드레서 368명으로 하였다. 조사는 2019년 8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의 기간에 피조사자들이 직접 설문지에 응답하는 자기기입식 설문조사(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에 의하였다. 연구 결과, 조사대상자의 피로자각증상에 따른 직무만족도는 피로자각증상이 낮은 군보다 높은 군에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 피로자각증상과 직무만족도와의 상관관계에서는 피로자각증상이 높을수록 직무만족도는 낮아지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387, p<.001). 직무만족도에 대한 피로자각증상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직무만족도가 낮아질 위험비는 피로자각증상이 낮은 군(Q1)에 비해 매우 높은 군(Q4)에서 3.8배(OR=3.82, 95%CI=1.254-7.258)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 같은 연구 결과는 미용업소에 근무하고 있는 헤어드레서의 직무만족도는 피로자각증상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음을 시사하고 있어 헤어 드레서의 직무만족도를 증진 시키기 위한 피로자각증상의 적극적인 해소 방안을 강구할 필요성이 강조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fatigue and job satisfaction of hairdressers in the beauty salon. The subjects were 368 hairdressers working in beauty salons in a local city.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a structur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during the period from August 1 to September 30, 2019.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higher fatigue group than in the lower fatigue group (p<.001). In the correlation between fatigue and job satisfaction, the higher the fatigue level, the lower the job satisfaction (r=-0.387, p<.001). In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isk ratio of lowering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significantly increased 3.8 times (OR=3.82, 95%CI=1.254-7.258) in the very high fatigue group(Q4) than the low fatigue group (Q1). The results of the above study suggest that the job satisfaction level of hairdressers is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fatigue symptom level.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of hairdressers, it is necessary to seek an active solution to the fatigue symptom level.
목차
Ⅰ. 서론
Ⅱ. 조사 대상 및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고찰
Ⅴ.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