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Well-Dying and Educational Needs for Well-Aging
 - 발행기관
 - 건양대학교 웰다잉융합연구소
 - 저자명
 - 장경희(Kyung-Hee Chang)
 - 간행물 정보
 - 『한국건강사회융합연구』제1권 제2호, 88~108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2.11.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죽음 인식과 웰다잉 인식 및 교육 필요성의 요구도를 조사하여 웰에이징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기 위함이다. 2021년2월15일부터 2월20일까지 전국 만 19세 이상 남녀 341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온라인 일대일 조사를 실시하였고, PASW Statistics ver 18.0 (IBM Co.,Armonk, NY, USA) 통계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죽음에 대해 생각해 본 적이 있는 경우가 80.4%로 높았고, 연령대가 낮을수록 죽음에 대한 두려운 마음이 높았다. 웰다잉 지식수준은 10개 영역 중 ‘죽음의 이해’, ‘삶의 의미와 가치’,‘생명존중과 소중함에 대하여’ 영역은 여성이 높았고,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유언과 상속’, ‘장례와 장묘’, ‘자서전 쓰기’ 영역에서 남성의 지식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65세이상 노년층은 10개 전 영역의 지식수준이 높았고, 종교가 있는 사람이 없는 사람보다 전 영역에서 지식수준이 높았다. 교육 필요성은 ‘삶의 의미와 가치’영역이 교육 요구도가 높았고, ’죽음이해‘ 등 7개 영역에서 65세 이상 노년층의 교육 요구가 높았고, 중년층은 ’사전연명서 작성방법‘과 ’호스피스‘의 교육 필요성에서 높았으며, 젊은 층은 ’장례와 장묘‘ 영역에서 교육 요구도가 높았다. 지식수준은 낮으나 교육 필요성이 높게 나온 항목은 ‘사전연명의료의향서’, ‘유언과 상속’이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웰에이징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need for death awareness, well-dying awareness, and education needs and provide them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well-aging education programs. From February 15 to February 20, 2021, an online one-on-one survey was conducted on 341 men and women aged 19 or older nationwide through a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analyzed with the PASW Statistics ver 18.0 (IBM Co., Armonk, NY, USA) statistical program. As a result of the study, 80.4% of them had thought about death, and the lower the age group, the higher the fear of death. Among the 10 areas, women had higher levels of well-dying knowledge in the areas of “understanding death,” “the meaning and value of life,” and “about life respect and preciousness,” while men had higher levels of knowledge in the areas of “pre-life medical intention,” “will and inheritance,” “funeral and funeral,” and “autobiography.” Older people aged 65 or older had a higher level of knowledge in all 10 areas and a higher level of knowledge in all areas than those without religion. The need for education was high in the “meaning and value of life” area, the demand for education by senior citizens aged 65 or older was high in seven areas, including “understanding death,” middle-aged people were high in the “how to write a preliminary life statement” and “hospis.” Items with a low level of knowledge but a high need for education were “pre-life care letters” and “will and inherit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well-aging education programs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BEST
더보기의약학 > 의학일반분야 NEW
- 간호대학생의 심폐소생술 수행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조직의사소통능력과 인간중심간호가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아시아 유학생의 한국 적응 전환 경험: 근거이론적 접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