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possibility of restrictions on search and seizure of a law office
- 발행기관
- 한국형사소송법학회
- 저자명
- 최준혁(Jun Hyouk Choi)
- 간행물 정보
-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제17권 제2호, 219~262쪽, 전체 44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8,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과거에는 변호사가 작성하거나 보관하는 서면 등의 증거에 대한 압수·수색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변호사 사무실에 대한 압수·수색을 수사기관이 스스로 자제하였고, 변호사 또는 로펌과 의뢰인 간의 비밀보호는 방어권 보장의 핵심요소 중 하나이므로 수사기관이 로펌을 압수·수색한다는 일을 상상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하지만 위 설명은 과거의 일이며 변호사사무실에 대한 압수수색은 종종 발생한다.
변호사가 의뢰인에게 충분하고 적절한 법적 조언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의뢰인이 자문하는 사건 또는 사무에 대한 충분한 정보가 필요하고, 특히 의뢰인이 자신에게 불리한 정보를 숨기지 않을 것이 요구된다. 그런데, 의뢰인이 자신에게 불리한 정보까지 변호사에게 제공하기 위해서는 변호사에게 제공한 정보가 외부에 공개되지 않을 것이 전제되어야 한다.
변호인이 증언을 거부할 수는 있지만 압수는 거부할 수 없다면, 수사기관은 증언을 대체할 수 있는 증거물을 수집하기 위해 압수수색과 같은 우회적 수사방법을 동원하여 증언거부권의 행사에 관한 규정의 규범목적을 잠탈할 수 있으며, 형사소송법 제149조와 제112조를 비교해 볼 때 이러한 우회가 실제로 가능하다.
대법원 2012. 5. 17. 선고 2009도6788 전원합의체 판결은 현행법상 규정이 미비함을 이유로 변호인-의뢰인 특권을 인정하지 않는 대신 전문증거의 문제로 사안을 해결하였다. 이 글은 변호사 사무실에 대한 압수수색이 문제가 되었던 최근의 사건을 대상으로 하여, 변호인-의뢰인-특권으로 논의되는 사안을 현재의 형사소송법 조문의 해석을 통해 해결할 수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결론적으로는 2009도6788 판결에서의 사실심법원의 판단과 마찬가지로, 헌법적 형사소송법의 관점에서 변호인의 참여권에 대한 대법원과 헌법재판소의 판결례 및 형사소송법의 조문의 취지를 반영하여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하였다.
영문 초록
In the past, search and seizure of evidence, such as documents prepared or kept by lawyers, were rarely conducted. Investigative agencies exercised self-restraint in searching law offices, and the protection of confidentiality between lawyers or law firms and their clients was considered a key element in guaranteeing the right to defense, making it difficult to imagine law firms being subject to search and seizure. However, this explanation pertains to the past, as searches and seizures of law offices now occur more frequently.
For a lawyer to provide sufficient and appropriate legal advice to a client, it is essential to have comprehensive information about the case or matter being consulted. In particular, the client must not withhold information that may be unfavorable to them. However, for a client to disclose even unfavorable information to their lawyer, it must be ensured that the information provided will not be disclosed to external parties.
If a lawyer can refuse to testify but cannot refuse seizure, investigative agencies may circumvent the purpose of the rule granting the right to refuse testimony by employing indirect investigative methods, such as search and seizure, to collect evidence that could substitute for testimony. Comparing Article 149 and Article 112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such circumvention is possible in practice.
The Supreme Court's decision on May 17, 2012 (2009Do6788) resolved the issue as one of hearsay evidence rather than recognizing attorney-client privilege, citing the lack of explicit provisions in the current law. This article examines a recent case in which the search and seizure of a law office became a contentious issue, analyzing whether the matter, often discussed in the context of attorney-client privilege, can be resolved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existing provisions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In conclusion, similar to the findings of the fact-finding court in the 2009Do6788 ruling, this article argues that the issue should be resolved by reflecting the Supreme Court and Constitutional Court’s precedents on the right to attorney participation and the legislative intent of the Criminal Procedure Act from the perspective of constitutional criminal procedure.
목차
Ⅰ. 대상결정의 내용
Ⅱ. 들어가며
Ⅲ. 비교법적 검토
Ⅳ. 해석의 방향
Ⅴ. 맺으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울중앙지방법원의 구속취소 결정의 의미 - 2025초기619 구속취소 결정을 중심으로
- 압수·수색 절차의 참여권자로서 ‘실질적 피압수자’의 범위와 그 요건에 대한 검토 : 임의제출에 의한 압수·수색에 한정되어 사용되는 개념인지에 대하여 - 대상 판결 : 대법원 2024. 12. 24. 선고 2023도3623 판결
- 변호인-의뢰인 특권을 형사소송법의 해석을 통해 인정할 수 있는지 - 변호사 사무실에 대한 압수수색의 제한 가능성
- 군사상 비밀장소 압수수색 제한에 관한 해석론적, 입법론적 검토
- 법왜곡죄에 관한 소고
- 대통령의 재직 중 형사상 불소추규정과 공판기일 추후 지정
- 수사기관 난립으로 인한 문제점과 정비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 서울중앙지방법원의 구속취소 결정의 의미 - 2025초기619 구속취소 결정을 중심으로
- 압수·수색 절차의 참여권자로서 ‘실질적 피압수자’의 범위와 그 요건에 대한 검토 : 임의제출에 의한 압수·수색에 한정되어 사용되는 개념인지에 대하여 - 대상 판결 : 대법원 2024. 12. 24. 선고 2023도3623 판결
- 변호인-의뢰인 특권을 형사소송법의 해석을 통해 인정할 수 있는지 - 변호사 사무실에 대한 압수수색의 제한 가능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