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서울중앙지방법원의 구속취소 결정의 의미 - 2025초기619 구속취소 결정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Critical Review of the Seoul Central District Court’s Decision(2025초기619) to Revoke Pretrial Detention
발행기관
한국형사소송법학회
저자명
황문규(Mungyu Hwang)
간행물 정보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제17권 제2호, 75~128쪽, 전체 54쪽
주제분류
법학 > 법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9,2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2025. 3. 7. 서울중앙지방법원의 2025초기619 구속취소 결정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이 결정에서는 크게 2가지 쟁점을 다루고, 내란 우두머리 혐의를 받고 있는 피고인에 대해 구속취소 결정을 하였다. 이 결정에서는 첫 번째 쟁점인 구속기간이 만료된 상태에서 공소가 제기된 것으로 인정했다. 그 이유로 구속기간에 불산입하는 구속전 피의자심문 기간을 날(日)이 아니라 ‘시간’으로 계산해야 하고, 또 체포적부심사를 위한 기간도 체포제한기간에서만 제외하고 구속기간에는 산입해야 하기 때문임을 지적하였다. 이러한 법원의 해석과 판단은 그간의 법규정 및 실무관행과 정면으로 배치됨은 물론, 자의적 법창조 행위나 다름없다. 두 번째 쟁점에서도 법원은 공수처 등 관련 법령이 절차적 사항을 명확하게 규정하고 있지 않아 내란죄에 대한 공수처의 수사권 귀속 문제 등 논란의 여지가 있다는 점을 이유로 형사재판절차의 초기에 절차의 명확성을 기하고 수사과정의 적법성에 관한 의문의 여지를 해소할 수 있도록 구속취소 결정을 함이 상당하다는 판단을 하였다. 이는 구속의 사유가 없거나 소멸된 때에 구속취소할 수 있다는 형사소송법과도 부합하지 않는 부당한 판단이다. 이 결정은 구속 여부에 관한 결정은 오직 사법권 독립의 원칙에 의하여 신분이 보장된 법관의 판단에 의하여야만 한다는 헌법 제103조의 의미에 대해 심각한 의문을 제기하지 않을 수 없게 만들었다. 그리하여 재판의 공정성에 대한 신뢰를 심각하게 훼손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ritically reviews the decision of the Seoul Central District Court on March 7, 2025, which revoked the detention of a defendant charged as the ringleader of an insurrection. The decision addressed two main issues. First, the court determined that the indictment had been filed after the expiration of the detention period. It reasoned that the duration of the pretrial interrogation of the suspect should be calculated in hours rather than days, and that the period for the legality review of arrest (arrest validity review) should be excluded only from the arrest period but included in the detention period. This interpretation contradicts both existing legal provisions and established judicial practice, amounting to an arbitrary creation of law by the court. Second, the court argued that, due to the lack of clear procedural rules in relevant laws—particularly concerning whether the Corruption Investigation Office for High-ranking Officials (CIO) holds investigative jurisdiction over insurrection charges—it was appropriate to revoke the detention at an early stage of the criminal proceedings. The court claimed this would help ensure procedural clarity and eliminate doubts regarding the legitimacy of the investigation. However, this reasoning is inconsistent with the Criminal Procedure Act, which only permits the revocation of detention when the grounds for detention no longer exist or have disappeared. This decision raises serious concerns regarding the meaning of Article 103 of the Constitution, which stipulates that decisions on detention must be made solely by judges whose status is guaranteed under the principle of judicial independence. As such, the decision severely undermines public trust in the fairness of judicial proceedings.

목차

Ⅰ. 들어가며
Ⅱ. 구속취소 결정의 요지
Ⅲ. 대상 결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
Ⅳ. 나오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황문규(Mungyu Hwang). (2025).서울중앙지방법원의 구속취소 결정의 의미 - 2025초기619 구속취소 결정을 중심으로.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 17 (2), 75-128

MLA

황문규(Mungyu Hwang). "서울중앙지방법원의 구속취소 결정의 의미 - 2025초기619 구속취소 결정을 중심으로."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 17.2(2025): 75-1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