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roblems caused by jumbling of investigative agencies and countermeasures
- 발행기관
- 한국형사소송법학회
- 저자명
- 김지연(Jiyoun Kim)
- 간행물 정보
-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제17권 제2호, 129~173쪽, 전체 45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8,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경찰, 검찰, 공수처가 고위공직자범죄에 관한 수사에서 주도권을 갖기 위해 충돌하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경쟁적인 수사권 행사는 중첩적인 수사로 이어져 수사대상자의 기본권을 침해하며, 넓은 의미에서 일사부재리 원칙에 위반되고, 인권보장과 신속재판 이념에도 반한다. 또한 국가적·사회적 차원에서 국가의 수사권 남용으로 이어질 수 있고, 비효율성이 증가되며, 국민의 형사사법기관에 대한 불신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에 대한 대안으로 공수처법 제24조에서 규정한 공수처장의 이첩요청권 행사를 제한할 것을 제언하였다. 다른 기관의 영장신청 또는 청구가 우선하거나 수사 종결이 임박한 경우, 공소시효가 임박한 경우, 구속사건으로서 신속한 수사 및 기소가 필요한 때에는 예외를 인정해야 한다. 또한 공수처가 이첩받은 사건을 이첩받은 기관으로 다시 이첩할 때에는 해당 수사기관의 장의 승인을 받도록 해야 한다. 나아가 검찰과 공수처의 수사권 행사 범위에서 ‘직접 관련성이 있는 범죄’는 혼란을 초래하고 있으므로 명확히 정의해야 한다.
공수처 검사가 수사권만 가진 범죄에 대한 수사 및 기소절차에서 법률 규정의 미비로 인한 형사절차 법정주의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으므로, 공수처와 검찰 간의 수사, 사건송치, 신병인계에 관한 세부적인 규정을 마련해야 한다. 반면 공수처 검사가 수사권 및 소추권을 함께 가진 범죄에 관해서는 공수처가 선별적으로 수사권을 행사하고, 상당수의 사건은 검찰청 소속 검사가 수사한 후 공수처 검사는 기소만 하는 현상이 반복되고 있다. 선별적 수사권 행사는 공정한 수사권 행사 차원에서 문제가 있을 뿐만 아니라 이와 같은 현상은 공수처를 도입한 취지와 상반되므로 향후 공수처가 직접 수사 및 기소하도록 개선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Recently, the Korean National Police Agency, the Prosecution Serivice, and the Corruption Investigation Office for High-ranking Officials(CIO) have been clashing over the initiative in the investigation of high-ranking public officials' crimes. Competitive exercise of investigative powers leads to overlapping investigations, which infringes on the fundamental rights of the subjects of investigation, and in a broad sense, violates the principle of double jeopardy, and goes against the principles of human rights protection and speedy trials. In addition, it can lead to abuse of the state's investigative powers at the national and social level, increase inefficiency, and cause the public to distrust criminal justice institutions.
As an alternative to this, this paper proposes limiting the the CIO’s case transfer request which is stipulated in Article 24 of the CIO Act. Exceptions should be made in Article 24 of the CIO Act in cases where another agency has requested a warrant first, when another agency's end of investigation is imminent, or when the case is an arrest. The CIO should obtain approval from the head of the relevant investigative agency when transferring a transferred case to the same agency. In addition, the definition of the ‘directly related crimes’ should be clear to prevent conflict between the Prosecution Service and the CIO in investigation power.
The absence of specific legal provisions regarding the procedures between the Procecution Service and the CIO for crimes in which the CIO prosecutors only have the right to investigate raises the issue of criminal procedure legalism. Therefore, detailed regulations regarding the transfer of cases between the Prosecutor Service and the CIO should be established.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crimes in which the CIO prosecutors have both the right to investigate and the right to indict, the CIO procecutors selectively exercises its investigative powers, and in many cases, the Prosecutor Service procecutors conduct the investigation and then the CIO procecutors only indicts. The selective exercise of investigative powers is not only problematic in terms of the fair exercise of investigative powers, but also runs counter to the purpose of introducing the CIO.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CIO procecutors to directly investigate and prosecute cases in the future.
목차
Ⅰ. 서론
Ⅱ. 국내 수사기관의 정립 과정
Ⅲ. 경쟁적인 수사권 행사의 폐해
Ⅳ. 형사절차 법정주의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울중앙지방법원의 구속취소 결정의 의미 - 2025초기619 구속취소 결정을 중심으로
- 압수·수색 절차의 참여권자로서 ‘실질적 피압수자’의 범위와 그 요건에 대한 검토 : 임의제출에 의한 압수·수색에 한정되어 사용되는 개념인지에 대하여 - 대상 판결 : 대법원 2024. 12. 24. 선고 2023도3623 판결
- 변호인-의뢰인 특권을 형사소송법의 해석을 통해 인정할 수 있는지 - 변호사 사무실에 대한 압수수색의 제한 가능성
- 군사상 비밀장소 압수수색 제한에 관한 해석론적, 입법론적 검토
- 법왜곡죄에 관한 소고
- 대통령의 재직 중 형사상 불소추규정과 공판기일 추후 지정
- 수사기관 난립으로 인한 문제점과 정비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 서울중앙지방법원의 구속취소 결정의 의미 - 2025초기619 구속취소 결정을 중심으로
- 압수·수색 절차의 참여권자로서 ‘실질적 피압수자’의 범위와 그 요건에 대한 검토 : 임의제출에 의한 압수·수색에 한정되어 사용되는 개념인지에 대하여 - 대상 판결 : 대법원 2024. 12. 24. 선고 2023도3623 판결
- 변호인-의뢰인 특권을 형사소송법의 해석을 통해 인정할 수 있는지 - 변호사 사무실에 대한 압수수색의 제한 가능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