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the Crime of Judicial Perversion
- 발행기관
- 한국형사소송법학회
- 저자명
- 김상현(Sanghyun Kim)
- 간행물 정보
- 『형사소송 이론과 실무』제17권 제2호, 3~42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2018년 이래 법왜곡죄의 입법화 시도가 여러 차례 있었고, 최근에도 특정 사건을 계기로 관련 법률안이 다시 한 번 발의되어 현재 국회에 계류 중이며, 앞으로도 도입론에 관한 논의는 계속될 것으로 보이는바, 법왜곡죄의 국내 도입과 관련한 문제점을 입법론적·형사사법제도적·실무적 관점에서 분석할 필요가 있다. 입법론적 관점에서 볼 때, 법왜곡죄를 두고 있는 독일의 경우와 달리 우리나라는 포괄적인 직권남용죄 규정을 두고 있어 도입의 실익이 적다. 형사사법제도적 측면에서 볼 때, 법과 정의 개념의 상대성으로 인한 제도 남용 우려, 형벌규정의 명확성 결여, 헌법상 평등원칙 위반 등의 문제가 있고, 실무적 측면에서 보더라도, 제도 운영자의 선의를 기대하기 어려운 사정이 존재하며, 가벌적인 법왜곡과 불가벌적인 법적 견해 차이 또는 사법착오의 경계 판단 곤란, 법률제도 경직성의 심화 우려, 중범죄의 처벌 공백 야기 가능성 등의 난점이 있다. 특히 검사에 대한 법왜곡죄 도입은 형사절차 당사자로서의 검사 지위 및 기소편의주의와의 충돌을 야기할 뿐만 아니라 최근의 수사권 조정 기조와도 일관성이 결여된 조치이다. 제도 도입에 관하여 대단히 신중한 검토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Since 2018, there have been multiple legislative attempts to introduce to Korea the crime of judicial perversion. Given that discussions on its adoption are likely to continue, it is necessary to analyze potential problems regarding the introduction of this crime in Korea from various perspectives.
From a legislative standpoint, unlike Germany, Korea already has a broad provision addressing abuse of official authority, rendering the necessity of a new offense punishing judicial perversion minimal. From a criminal justice system perspective, issues include risk of abuse due to the subjective nature of concepts like law and justice, lack of clarity in the proposed criminal provision, and potential violations of the constitutional principle of equality. On a practical level, challenges include difficulty of expecting fair and restrained application of the law, ambiguous boundary between punishable judicial perversion and permissible legal interpretation or judicial error, increased rigidity in legal decision-making, and the potential for increased acquittal rate in serious criminal cases.
Particularly concerning is the proposed application of this offense to prosecutors, which not only conflicts with their role as parties to criminal proceedings and the principle of prosecutorial discretion, but also lacks consistency with the broader policy direction of investigative authority reform. Therefore, extreme caution is needed in considering the adoption of this system.
목차
Ⅰ. 들어가며
Ⅱ. 법왜곡죄의 기원과 각국의 입법례
Ⅲ. 법왜곡죄 도입 여부에 관한 국내 논의
Ⅳ. 법왜곡죄 도입과 관련한 문제점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서울중앙지방법원의 구속취소 결정의 의미 - 2025초기619 구속취소 결정을 중심으로
- 압수·수색 절차의 참여권자로서 ‘실질적 피압수자’의 범위와 그 요건에 대한 검토 : 임의제출에 의한 압수·수색에 한정되어 사용되는 개념인지에 대하여 - 대상 판결 : 대법원 2024. 12. 24. 선고 2023도3623 판결
- 변호인-의뢰인 특권을 형사소송법의 해석을 통해 인정할 수 있는지 - 변호사 사무실에 대한 압수수색의 제한 가능성
- 군사상 비밀장소 압수수색 제한에 관한 해석론적, 입법론적 검토
- 법왜곡죄에 관한 소고
- 대통령의 재직 중 형사상 불소추규정과 공판기일 추후 지정
- 수사기관 난립으로 인한 문제점과 정비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BEST
- 인공지능 판사, 과연 가능한가?
- 정치의 사법화와 사법의 정치화 : 온건하고 실용적인 헌법재판의 당위성
- 자국 우선주의 정책과 국제법상 난민⋅이민자 보호-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를 중심으로-
법학 > 법학분야 NEW
- 서울중앙지방법원의 구속취소 결정의 의미 - 2025초기619 구속취소 결정을 중심으로
- 압수·수색 절차의 참여권자로서 ‘실질적 피압수자’의 범위와 그 요건에 대한 검토 : 임의제출에 의한 압수·수색에 한정되어 사용되는 개념인지에 대하여 - 대상 판결 : 대법원 2024. 12. 24. 선고 2023도3623 판결
- 변호인-의뢰인 특권을 형사소송법의 해석을 통해 인정할 수 있는지 - 변호사 사무실에 대한 압수수색의 제한 가능성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