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generation of transformed Chinese sentences using generative AI
-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교육학회
- 저자명
- 박용진(Yongjin Park)
- 간행물 정보
- 『Foreign Languages Education』Vol.32 No.2, 113~139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how 16 Chinese transformational structures are generated using generative AI from the perspective of learners whose native language is Korean. To summarize: (1) In weak AI models, using the zero-shot input method, Baidu generated 13 transformed Chinese Sentences, and Papago generated 11 transformed Chinese Sentences. (2) In strong AI models, using the prompt input method, WRTN generated 12 transformed Chinese Sentences, and Yuanbao generated 11 transformed Chinese Sentences. The possible reason why weak AI showed better results than strong AI may be because the analysis target was simple sentences. Baidu and Papago AI are programs specialized in translation. Therefore, under the same conditions as the experiment, it can posited that weak AI is more specialized than strong AI. Thus, it may be sufficient to utilize weak AI in current Chinese writing education. Nevertheless, for this research be applicable to Chinese writing education, the following additional analyses are necessary: (1) This study targeted ‘simple sentences.’ If applied to ‘complex sentence’ writing education, an analysis of whether weak AI remains useful is necessary. (2) An analysis of how to conduct educ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s required.
영문 초록
本研究從母語為韓語的學習者的視角出發,探討了生成式AI如何生成16種漢語變形結構。總結如下:弱AI模型採用zero-shot輸入法時,Baidu生成了13個漢語變形結構,Papago生成了11個漢語變形結構。強AI模型採用prompt輸入法時,WRTN生成了12個漢語變形結構,Yuanbao生成了11個漢語變形結構。弱AI表現優於強AI的可能原因在於分析對象是簡單句。Baidu和PapagoAI是專門從事翻譯的程序。因此,在相同的實驗條件下,可以認爲弱AI比強AI更具專業性。由此可見,在當前的漢語寫作教育中,利用弱AI可能就已足夠。然而,爲了將本研究應用於漢語寫作教育,還需要進行以下額外分析:從研究對象拓展來講,本研究針對的是“簡單句”。如果應用於“複雜句”寫作教育時,則需要分析弱AI是否仍然有用。從AI輔助教學方法來講,還需要分析如何利用人工智能進行教學。
목차
I. 서론
II. 분석 설계
III. 제로샷(Zero-Shot) 입력 분석 결과
IV. Prompt 입력으로 재분석
V.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Understanding Local and International Students’ Perspectives on Local-English Code-Switching in EMI Classrooms
- 프랑스어 교수자의 전문성 개발을 위한 디지털 연수 모델 연구: 이론적 탐색과 사례 분석
- 기계번역을 활용한 그리스어 명령법 교수-학습법 제안
- 생성형 AI를 활용한 중국어 변형 구조 문장의 생성 연구
- 교양영어수업의 협력적 글쓰기 과정에서 동료 피드백 활동에 대한 사례 연구
- 집단별 중국어 어휘량 및 난이도 비교 분석:중국어전공, 교양중국어, 비학습자를 대상으로
- 학문 목적 학습자 대상 시사 텍스트 교재 분석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