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집단별 중국어 어휘량 및 난이도 비교 분석:중국어전공, 교양중국어, 비학습자를 대상으로

이용수  0

영문명
Comparative analysis of Chinese vocabulary size and difficulty by learner group: Focusing on Chinese majors, general Chinese learners, and non-learners
발행기관
한국외국어교육학회
저자명
진현(Hyeon Jin)
간행물 정보
『Foreign Languages Education』Vol.32 No.2, 97~112쪽, 전체 1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4,7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s differences in Chinese receptive vocabulary size and perceived lexical difficulty among three group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Chinese majors, liberal arts students studying Chinese, and students with no formal exposure to Chinese. A total of 156 participants completed a 47-item Vocabulary Level Test (VLT) based on HSK levels 1-5. Data were analyzed using one-way ANOVA and Item Response Theory (IRT). The results revealed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Chinese majors demonstrated the highest lexical competence, followed by liberal arts students and then non-learners. Notably, non-learners achieved a mean accuracy rate of 38.30%, likely due to the influence of Sino-Korean cognates. IRT analysis further indicated that Chinese majors perceived the items as relatively “easy,” liberal arts students as “difficult,” and non-learners as “very difficult.”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critical role of linguistic and cultural familiarity—particularly knowledge of Chinese characters—in facilitating vocabulary comprehension. The study advocates for differentiated instructional strategies tailored to learners’ backgrounds and calls for future research involving students from non-Sinographic language backgrounds to enhance the generalizability of the findings.

영문 초록

本研究探讨了韩国大学生中不同学习者群体在汉语接受性词汇量及词汇感知难度方面的差异。研究对象包括汉语专业学生、学习汉语的文科学生以及未接受正式汉语教育的学生,共计156人。受试者完成了一项基于HSK1至5级词汇编制的47项词汇水平测试(VLT)。数据采用单因素方差分析(ANOVA)和项目反应理论(IRT)进行分析。结果显示,不同群体之间词汇能力存在显著差异:汉语专业学生表现最佳,其次为文科汉语学习者,非学习者最低。值得关注的是,非学习者虽未接受正式汉语教育,平均正确率仍达38.30%,推测主要受汉韩同源词影响。IRT分析结果进一步显示,汉语专业学生感知词汇难度为“容易”,文科学生为“困难”,非学习者为“非常困难”。研究结果凸显了语言与文化熟悉度,尤其是汉字知识,在促进词汇理解中的关键作用。基于此,研究建议针对不同学习者背景实施差异化教学策略,并呼吁未来进一步扩展至非汉字文化圈学习者群体,以提升研究结论的普适性。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및 논의
V.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진현(Hyeon Jin). (2025).집단별 중국어 어휘량 및 난이도 비교 분석:중국어전공, 교양중국어, 비학습자를 대상으로. Foreign Languages Education, 32 (2), 97-112

MLA

진현(Hyeon Jin). "집단별 중국어 어휘량 및 난이도 비교 분석:중국어전공, 교양중국어, 비학습자를 대상으로." Foreign Languages Education, 32.2(2025): 97-11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