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YOLOv11 기반의 다중 클래스의 이미지 분할을 사용한 주행 가능한 도로 영역 감지
이용수 3
- 영문명
- Drivable Road Area Detection using Multi-class Image Segmentation based on YOLOv11
- 발행기관
- 한국전자통신학회
- 저자명
- 서정희(Jung-Hee Seo)
- 간행물 정보
-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제20권 제3호, 621~628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전자/정보통신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6.30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YOLO 모델을 활용하여 다중 클래스에 대한 주행 가능한 도로 영역 감지를 위한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본 논문의 실험은 실제 운전장면과 공개용을 포함하는 데이터셋을 구축하고 도로 영역을 효과적으로 검출하고, 주행 가능한 영역의 세그멘테이션에 대한 성능을 정량적 및 시각적으로 분석한다. 실험 결과, mAP50(B)는 약 0.9까지 상승하여 예측 위치 정확도는 높은 것으로 판단되고, mAP50-95(B)는 0.45로 다양한 IoU 임계값에 대한 예측률도 변동이 적다. mAP50(M)는 대략적으로 0.88, mAP50-95(M)는 0.41∼0.43 사이로 세분화된 예측도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정밀도(Precision)는 0.85 이상으로 측정되어 객체 예측률이 높게 나타난다. 재현율(Recall)은 0.85∼0.90 사이로 신뢰할 수 있는 예측이 가능하다. 시각적 분석에서는 직진 도로와 곡선 도로, 좌·우회전의 예측은 우수하다고 평가된다. 그러나 좌·우회전의 도로 영역 예측에서는 다른 차선을 같이 예측하는 오류가 나타나고 있어 제안된 모델의 분할 정확도를 향상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proposes a framework for detecting drivable road areas for multiple classes using the YOLO model. The experiments in this paper construct a dataset that includes real driving scenes and public ones, and quantitatively and visually analyze the performance of effectively detecting road areas and segmenting drivable areas.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s, mAP50(B) is increased to about 0.9, which is considered to be high in predicted location accuracy, and mAP50-95(B) is 0.45, which shows little variation in prediction rates for various IoU thresholds. mAP50(M) is approximately 0.88, and mAP50-95(M) is between 0.41 and 0.43, which is considered to be high in segmented predictions. Precision is measured to be over 0.85, which indicates a high object prediction rate. Recall is between 0.85 and 0.90, which allows reliable predictions. In visual analysis, the prediction of straight roads, curved roads, and left and right turns is evaluated as excellent. However, in the prediction of the road area of left and right turns, an error occurs in predicting other lanes together, so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segmentation accuracy of the proposed model.
목차
Ⅰ. 서 론
Ⅱ. 방법론
Ⅲ. 구현 결과 및 분석
Ⅳ. 결 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제20권 제3호 목차
- 900 MHz 대역과 Wi-Fi 6E/7 대역을 포함한 삼중대역 WLAN 안테나 설계 및 제작
- 인 메모리 컴퓨팅 회로에 적용 가능한 11T SRAM 기반의 메모리 유닛 설계
- AIoT 응용을 위한 CMOS 전압제어발진기 설계 연구
- 극/슬롯 조합에 따른 집중권 페라이트 영구자석 동기전동기의 특성 비교
- 하이브리드 직류 전력 시스템과 자율 운항 기술 기반의 무인 문화재 탐사선 개발
- LED 조명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 가능성 실험
- 가속열화를 이용한 전력용 변압기의 절연특성 변화에 따른 퓨란화합물 분석
- 지식 그래프와 순차적 정보 기반의 개인화 추천 시스템
- 무선 센서의 공간적 관계 분석을 통한 데이터 수집 알고리즘 연구
- 지식베이스 기술을 활용한 화재 관련 시설물 검색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PNC 딥러닝 모델을 이용한 미세먼지 납 농도 예측
- 서비스 충족이 진정성 경험과 지속적 이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가격 민감성의 조절 효과
- 인버스 타입 분포를 적용한 유한 고장 NHPP 소프트웨어 신뢰성 모형의 성능 속성에 관한 연구
- 간이형 전도식 강우량계 성능인증 시험 방법
- 정보보안 기술 스트레서의 완화- 기술적 지원과 개인 조직 적합성의 역할
- 광대역 광원을 이용한 공간분할 다중방식 기반 수위 감시 시스템의 구현 방안
- 드론 기반 산불 추적을 위한 효율적 경로 계획 알고리즘 설계
- YOLOv11 기반의 다중 클래스의 이미지 분할을 사용한 주행 가능한 도로 영역 감지
- 다중 감정 분류를 위한 실시간 음성 기반 감정 인식 시스템 구현 및 평가
- 유사도 기반 선별적 데이터 활용을 통한 차량 내 비전 시스템의 실시간 적응형 파인튜닝 기법 연구
- 멀티모달 센서 퓨전 기반의 실내 사용자 행동패턴 추출 방안
- 수학적 과제와 음악 가사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뇌파 분석
- GAI와 CNN 기반 멀티모달 감정분석 실시간 상담 시스템 구현
- 행동 레이블링 데이터셋을 활용한 CNN 및 dlib 기반 어린이 행동 유형 분류 시스템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전자/정보통신공학분야 BEST
-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I)에 대한 지각된 가치와 지속이용의도 결정요인 탐색
- AI 시대 대학 교양교육에 필요한 디지털 리터러시 연구
- 인공지능의 역사, 분류 그리고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공학 > 전자/정보통신공학분야 NEW
- 유사도 기반 선별적 데이터 활용을 통한 차량 내 비전 시스템의 실시간 적응형 파인튜닝 기법 연구
- 멀티모달 센서 퓨전 기반의 실내 사용자 행동패턴 추출 방안
- 수학적 과제와 음악 가사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뇌파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