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PNC 딥러닝 모델을 이용한 미세먼지 납 농도 예측

이용수  0

영문명
Prediction of Atmospheric Lead Concentration Using the PNC Deep Learning Model
발행기관
한국전자통신학회
저자명
이은서(Eun-Seo Lee) 배영철(Young-Chul Bae)
간행물 정보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제20권 제3호, 543~550쪽, 전체 8쪽
주제분류
공학 > 전자/정보통신공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수도권(서울)의 2017~2024년 납(Pb) 농도 및 기상 데이터를 활용하여 일 단위 납 농도를 예측하는 딥러닝 기반 모델을 비교 분석하였다. 입력 변수로는 8개의 기상 요소와 과거 3일간 납 농도 값을 활용하였다. CNN, LSTM, GRU, TCN, Transformer, PNC 모델을 적용한 결과, PNC 모델이 시험 데이터 기준 RMSE 17.34, MAE 10.45로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였다. 본 연구는 중금속 예측에 있어 데이터 기반 모델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지역 확장 및 고농도 대응 성능 개선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mpares deep learning models for daily lead concentration prediction using meteorological data from Seoul (2017–2024). Eight weather variables and three-days Pb histories were used as input. Among CNN, LSTM, GRU, TCN, Transformer, and PNC, the PNC model showed the best performance (RMSE 17.34, MAE 10.45). The results confirm the potential of data-driven Pb forecasting and suggest directions for improvement in high-concentration prediction.

목차

Ⅰ. 서 론
Ⅱ. 데이터셋 및 전처리
Ⅲ. 모델 구조 및 학습 방법
Ⅳ. 실험결과 및 분석
Ⅴ.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은서(Eun-Seo Lee),배영철(Young-Chul Bae). (2025).PNC 딥러닝 모델을 이용한 미세먼지 납 농도 예측.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20 (3), 543-550

MLA

이은서(Eun-Seo Lee),배영철(Young-Chul Bae). "PNC 딥러닝 모델을 이용한 미세먼지 납 농도 예측."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20.3(2025): 543-5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